[앵커]<br />핵가족화와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2050년에는 '1인 가구'와 노인 가구가 대세가 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.<br /><br />주택보급률도 꾸준히 올라 지금의 101% 수준에서 2050년에는 140%에 이르러 빈집 가구가 사회문제화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강태욱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한국국토정보공사가 통계청 인구 자료 등을 토대로 2050 미래를 예측한 보고서를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미국 MIT대학에서 개발한 미래예측 기법인 '시스템 다이내믹스'를 이용했습니다.<br /><br />핵심은 2050년에 35%가 1인 가구라는 것.<br /><br />이미 지난해 1인 가구는 2인과 4인 가구를 제치고 대세 가구가 됐습니다.<br /><br />1인 가구는 2015년 517만 가구, 27%에서 2050년에는 35%인 763만 가구까지 느는 반면, 4인 가구의 비율은 2015년 19%(360만)에서 2050년 13%(287만)까지 주는 것으로 예측됐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고령화로 인해 노인 가구는 2010년 115만 가구이던 것이 2050년이 되면 3배가 넘는 429만 가구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되고 1인 미혼 가구도 2050년에는 329만 가구까지 크게 늘 것으로 전망됐습니다.<br /><br />이들의 기반이 되는 총가구 수는 핵가족화가 꾸준히 진행되면서 2015년 천918만 가구에서 2030년 2천234만 가구로 정점을 찍었다가 2050년 2천209만 가구로 줄기 시작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인구는 2015년 5천84만 명에서 2030년 5천221만 명까지 오른 이후 감소하기 시작해 2050년에 4천763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습니다.<br /><br />주택 수는 꾸준히 증가해 2010년 천762만 채, 2030년 2천496만 채, 2050년에는 2천998만 채에 육박해 주택보급률도 2010년 101%에서 2050년 140%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빈집 처리가 사회문제로 대두 된 일본처럼 우리도 이에 대한 선제적인 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강태욱[taewook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10816473756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