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, AI 여파로 달걀 가격이 치솟으면서 정부가 수입산 달걀과 달걀 가공품에 대해서 관세를 받지 않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과거에 관세를 대폭 낮췄던 품목들의 실제 가격 인하 효과가 기대에 못 미쳐서 이번 정책이 달걀값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.<br />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하린 기자!<br /><br />우선 달걀값이 얼마나 올랐는지부터 정리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현재 30알이 들어있는 한판 소매 가격이 8,400 원 정도입니다.<br /><br />한판 가격이 한 달 사이 3천 원 가까이 오른 건데, 1kg짜리 생닭 한 마리가 5천 원 정도니까 생닭의 1.7배에 이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달걀 가격이 금값이란 말까지 나오면서 정부가 달걀 수입한다고 밝혔는데요, 달걀 수입은 이번이 처음인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우선 달걀과 관련된 품목부터 정리해드리면, 우리가 일반적으로 '달걀'하면 생각나는 생란, 즉 신선란이 있고요.<br /><br />'맥반석 달걀' 같이 1차 가공을 거친 달걀, '조제란'이 있습니다.<br /><br />그 외에는 제빵업체나 제과업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달걀액이나 달걀가루 등 달걀 가공품이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런 달걀 가공품은 과거부터 수입해 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신선란 수입은 처음이나 다름없습니다.<br /><br />신선란의 경우, 1999년 달걀 대란이 있었을 때 태국에서 소량 수입했고, 2014년에 연구용으로 소량 수입한 적이 있지만, 신선란을 식용으로 대량 수입하는 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정부가 특정 품목에 무관세 결정을 내린 게 처음은 아닐 텐데 언제, 어떤 이유로 이런 조치를 취하게 되는 겁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정부의 조치를 정확히 말하면 '긴급 할당관세'를 시행하는 겁니다.<br /><br />'할당관세' 자체가 무관세를 의미하는 건 아니고, 국내 가격 안정이나 산업경쟁력 강화 등의 목적으로 일정 물량에 한해 기존보다 낮은 관세율을 적용하는 겁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번 AI 파동으로 인한 달걀 가격 상승 폭이 크기 때문에 8%에서 30%까지 적용되던 8개 품목의 관세를 아예 없앤 겁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그럼 당장 오늘부터 들어오는 물량부터 적용되는 겁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정확히 말씀드리면 오늘 수입 신고되는 물량부터 적용됩니다.<br /><br />앞서 전한대로, 신선란을 대량 수입한 적이 없기 때문에 신선란이 오늘 당장 들어오는 것은 아닙니다.<br /><br />민간 수입업체가 직접 외국 업체와 접촉을 해서 수입을 하거나, 직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10412122116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