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가장 큰 돈줄인 삼성을 비롯해 SK, LG 등 주요 기업들이 탈퇴 입장을 밝히면서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당장 살림살이뿐 아니라 존폐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순실 게이트로 해체 요구 목소리도 높은데, 전경련은 전면 쇄신으로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의견 수렴에 나섰지만, 쉽지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최민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삼성·SK·LG 등 주요 그룹 3곳이 전국경제인연합회 탈퇴를 선언한 다음 날!<br /><br />전경련은 이승철 부회장 주재로 긴급 임원 회의를 여는 등 이 대기업들의 의중을 파악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였습니다.<br /><br />정치권의 해체 압박에 이어 주요 회원사들까지 이탈 조짐을 보이면서 대책 마련에 나선 겁니다.<br /><br />특히 전체 예산의 1/8가량을 내는 삼성이 손을 떼겠다고 밝히면서 전경련은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.<br /><br />[이재용 / 삼성전자 부회장 : 제 입장에서 해체라는 말을 꺼내기가 자격이 없을 것 같고요. 저희는 (전경련을) 탈퇴하겠습니다.]<br /><br />당장 내년 예산을 줄여야 하는 만큼 대규모 조직 개편 등은 불가피해졌습니다.<br /><br />이 과정에서 조직이 크게 축소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전경련 사업은 크게 국제경제협력과 사회협력 그리고 정책 대응으로 나뉘는데, 지금 위기의 진원지이자, 대관을 담당하는 사회협력 부분을 없앨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대신 구본무 LG그룹 회장이 제시한 미국 헤리티지재단처럼 재계의 '싱크탱크' 역할을 하기 위해 정책 기능을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일부에서는 비슷한 성격의 대한상공회의소와 통합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지만, 전경련은 내부 개혁에 무게중심을 두는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이를 위해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조직 쇄신 위원회를 구성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갈 길은 순탄치 않습니다.<br /><br />[권영준 /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: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환골탈태, 당연히 발전적 해체를 해야 합니다. (그리고) 순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경제연구원 그리고 글로벌컨설팅 이런 기능 할 수 있는 기관으로 변화됐으면 합니다.]<br /><br />정권의 모금창구로 전락한 전경련이 날로 거세지고 있는 해체 요구를 넘어 내부 체질 개선만으로 위기를 돌파할 수 있을지 여전히 의문입니다.<br /><br />YTN 최민기[choim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20721154866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