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우리 경제가 총체적인 어려움에 빠져있는 가운데 취업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수출이 약간 회복되는 긍정적인 면도 나타나고 있지만, 생산 부진과 소비심리 악화 등에 정국 혼란까지 겹쳐 돌파구를 찾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박성호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조선과 해운 등을 중심으로 한 구조조정 한파 속에 고용 불안감이 갈수록 커지는 양상입니다.<br /><br />노동연구원은 내년 실업률이 3.9%까지 올라 2001년 4% 이후 15년 만에 최악의 상황을 맞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청년 실업률은 공식으로는 10.1%지만, 취업준비생 등을 포함한 체감실업률은 21.1%로 뛰고 숫자로는 100만 명이 넘습니다.<br /><br />고용 악화에는 제조업의 부진과 인력 감축이 큰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10월 산업생산은 전산업이 0.4%, 서비스업이 0.2% 감소한 데 비해, 제조업은 마이너스 1.4%까지 내려갔습니다.<br /><br />제조업 부진은 고용에서도 나타나, 상용직 수가 작년 3분기에는 17만 명 가까이 늘었으나 올해는 8만여 명이 줄어 큰 대조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8월 이후 석 달 만에 상승 반전된 수출은 밝은 면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반도체 등 주력 품목의 실적 개선이 두드러지는 점은 지나친 낙관을 경계합니다.<br /><br />[김광섭 / 통계청 경제통계국장 : 이 세 업종 (반도체 자동차 영상장비)만 좋으면 전체 광공업이 좋을 수가 있잖아요. 어떻게 보면 전체적인 체감하고는 다르게 나갈 수가 있다는 얘기죠.]<br /><br />소비는 잇단 대규모 할인행사로 반짝 떠받쳐지고 있으나 소비심리는 가계부채 등으로 오히려 나빠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소비자심리지수는 낙관에서 비관 쪽으로 하락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7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최순실 게이트의 경제 파장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미국의 금리 인상, 보호무역 강화조치 등이 현실화하면 우리 경제는 저성장이 고착되는 위기를 맞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박성호[shpar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20114134329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