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비선 실세 '최순실 게이트'가 터지면서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국정 과제인 창조경제도 몰락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시작부터 개념 자체도 모호했는데 2년 도 안 돼 추진 동력을 많이 잃어버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대건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2014년 9월부터 전국 17개 지역에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줄줄이 들어섭니다.<br /><br />기본적인 틀은 17개 지역을, 대기업들과 연결하는 겁니다.<br /><br />삼성은 대구와 경북에, 현대자동차는 광주에, 그리고 SK는 대전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만들고 운영하는 방식입니다.<br /><br />사업 테마도 다릅니다.<br /><br />예를 들어 CJ는 문화, 현대중공업은 조선과 관련된 벤처 지원을 하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'어설픈 짝짓기'라는 비판이 나왔지만 박근혜 대통령은 전국을 돌며 창조경제 전도사임을 자처했습니다.<br /><br />[박근혜 / 대통령 (2014년 9월) : 대구 지역의 창조경제는 이곳 대구에서 시작해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한 삼성이 든든한 멘토와 등대와 같은 역할을 해서 새롭게 일으키게 될 것입니다.]<br /><br />지난해까지 운영 자금은 대기업들이 주로 많이 냈습니다.<br /><br />이후 정부와 지자체 예산 비중이 점차 늘어 지난해 정부와 지자체 비중이 47%, 올해는 78%까지 치솟았습니다.<br /><br />대기업이 정권 초기에 정부 입맛에 맞게 호흡을 맞추다 서서히 빠지고 지자체도 주저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현재는 사실상 정부만 남아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운영비 자체는 지난해 1000억 원이 넘었는데 올해 731억 원으로 줄었고, 내년에는 정부가 편성한 472억 원이 전부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마저도 야당에서 대거 삭감하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게다가 창조경제 성과 자체도 미미합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59개 과제에 대해 지원이 이뤄졌는데, 민간 투자 유치로 이어진 경우는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단 10개, 6% 정도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뒤 언론에서 공개했던 태블릿 PC에는 창조경제 관련 자료가 포함돼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시행 전에 최 씨가 사전에 검토했다는 의미입니다.<br /><br />그리고 '문화계 황태자'로 불리는 차은택 씨는 창조경제 추진단장을 맡았습니다.<br /><br />애초 단장이 2명이었는데 대통령령까지 고쳐가며 차 씨를 단장에 앉혔다고 야당에서 주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구속 기소된 안종범 전 청와대 수석은 창조경제 컨트롤타워 역할을 적극적으로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12900002879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