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한때 국민 기업으로 불렸던 포스코와 KT 역시 '최순실 게이트'의 주요 표적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정권마다 권력에 휘둘리는 전례가 이번에도 되풀이됐는데요.<br /><br />그 여파로 회장 연임 문제가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병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포스코와 KT가 이번에도 정경유착의 꼬리표를 떼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검찰의 '최순실 게이트' 중간 수사 결과 발표에 언급된 기업 5개 가운데 두 곳 모두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포스코는 광고 계열사인 포레카 지분 강탈 시도와 펜싱팀 창단 등에 경영진이 개입했는지 여부를 놓고 검찰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KT는 차은택 씨가 추천한 사람 2명을 임원으로 채용하고, 광고까지 몰아줬습니다.<br /><br />강요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는 입장이지만, 정권 교체기마다 큰 홍역을 치른 포스코와 KT는 또 한 번의 오점을 남기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이 여파로 가장 중요한 현안인 회장 연임 문제에 적지 않은 영향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내년 3월 임기가 끝나는 포스코 권오준 회장과 KT 황창규 회장은 이사회 절차를 고려하면 늦어도 다음 달 말까지는 연임 의사를 밝혀야 하는데, 최순실 게이트의 불똥이 어디까지 튈지 몰라 가늠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이번 기회에 기업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오일선 / 한국2만기업연구소 소장 : 오너가 없는 기업의 경우 최고경영자(CEO)와 같은 임원 인사 독립권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사회 구성 시 정치권 입김이 아닌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는 인물로 이사회를 구성하는 것이 (중요합니다.)]<br /><br />특히 포스코와 KT 경영진이 기업의 이익과 사회적 책무를 최우선으로 하고, 자리보전을 위해 정부와 코드를 맞추는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YTN 김병용[kimby1020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12605042096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