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수도권에서도 확진 판정이 나오는 등 고병원성 AI가 전국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바이러스 유형인 데다 변이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어 대처가 쉽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허성준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주말 닭 240마리가 폐사한 경기도 양주의 농가도 결국 고병원성 AI로 확진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7일, 충북 음성과 전남 해남에서 첫 확진 판정이 내려진 이후 닷새 만에 수도권까지 초고속으로 확산한 겁니다.<br /><br />충북 음성군의 농가 두 곳에서도 오리가 집단 폐사했다는 신고가 추가로 접수됐고, 간이 검사 결과 AI 양성 판정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이번 AI는 과거 유형과 달리 잠복 기간이 짧고 폐사율도 높습니다.<br /><br />[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 : 목이 돌아가고 물이 섞인 설사를 하고요, 그리고 벼슬이나 이런 붉은 부분에 청색증이 있고….]<br /><br />특히 오리의 90% 이상이 사육되는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의 서해안 오리 벨트에 발병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닭보다 오리가 AI 바이러스에 강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만큼 바이러스 변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구제역은 혈청이 7가지에 정도지만, AI는 백여 가지나 돼 백신 개발도 쉽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방역 당국은 말 그대로 초비상입니다.<br /><br />[윤문조 / 경상북도 축산경영과장 : (농가에서) 매일 자가 소독하도록 하고, 철새도래지 및 중점 방역 관리지구에 가금류를 일제 검사해 차단 방역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방역 당국은 AI 확산에 대처하기 위해 이번에 국내에서 발견된 H5N6형 AI의 바이러스 유형을 정밀 분석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허성준[hsjk23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6112218201473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