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북한의 인권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하고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는 북한인권결의안이 유엔총회에서 채택됐습니다.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을 북한 인권 유린의 책임자로 명확히 하는 문구도 처음으로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뉴욕에서 김영수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북한 정권의 인권 유린을 규탄하고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는 유엔 인권 결의안이 올해도 채택됐습니다.<br /><br />유엔총회 제3위원회는 유엔 본부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북한인권결의안을 회원국 합의로 통과시켰습니다.<br /><br />첫 결의안이 나온 지난 2005년 이후 12년 연속 채택입니다.<br /><br />[마리아 엠마 메히아 / 콜롬비아 유엔 주재 대사 :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. 결의안 일부 수정에 반대 없지요, 채택합니다.]<br /><br />결의안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인권 상황을 국제 형사재판소에 회부 하고, 책임자 처벌에 나설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 3년 연속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특히 '리더십'이 통제하는 기관에 의해 인권 유린이 자행되고 있다고 밝혀, 사실상 김정은 위원장을 최고 책임자로 명확히 했습니다.<br /><br />정치범 강제 수용과 고문, 공개 처형 등을 북한의 인권유린 사례로 들었으며 해외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의 착취 문제를 새롭게 제기 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별도의 기자회견까지 열고 결의안 채택에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[김인룡 / 북한 유엔 주재 차석대사 : 결의안은 인권 보호와 증진과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. 미국의 정치적 목적을 위한 계략과 음모의 산물입니다.]<br /><br />중국과 러시아, 이란과 쿠바, 베네수엘라는 올해도 결의안 채택에 반대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 인권 결의안은 다음 달 중순 유엔 총회 본회의에 상정돼 처리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지금까지 한 번도 부결된 적이 없어 사실상 오늘 채택이 확정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뉴욕에서 YTN 김영수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6111606115946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