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사방이 지뢰 지대인 민통선 내의 관광지와 농경지에는 해마다 연인원 4백만 명의 민간인이 왕래하고 있지만, 군의 지뢰지대 관리는 여러가지로 소홀한 점이 많습니다.<br /><br />지뢰 사고 실태를 데이터 분석으로 조명한 YTN의 집중 보도와 관련해, 군 당국은 지뢰지대 공간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함형건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해 경계 표시판도 없는 인삼 축제 행사장 바로 뒤편에서 지뢰가 나온 건 관광 체험행사를 진행하는 지자체의 안전불감증을 잘 보여줬습니다.<br /><br />행사장인 인삼밭 뒤편 숲은 지뢰 매설 추정 구역이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서 700여 m 떨어진 곳에는 민통선 내 정착촌인 해마루촌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농촌 체험을 하거나 민통선 관광을 하러 가족 단위 관광객이 자주 찾는 곳이자만 주변은 온통 지뢰밭이고, 곳곳의 차단 시설이 허술합니다.<br /><br />해마루촌에서 5km 남서쪽에는 초·중·고등학생의 단체 연수시설로 사용되는 전 미군 기지 시설인 캠프 그리브스가 있습니다.<br /><br />남쪽과 서쪽이 온통 지뢰밭인데, 경계 표시가 미비한 곳이 한 두 곳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접경지역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. 앞서 보신 것처럼 곳곳의 관광 체험 시설 부근에 지뢰 영역이 도사리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접경지역의 지뢰 매설 추정 구역 중에서 지뢰 매설 가능성이 특히 높아 보이는 지역을 골라 지도에 표시했습니다. 지뢰 문제 활동가가 현장과 주민을 조사해 작성한 자료를 참고했습니다.<br /><br />붉은색 지뢰 영역 인근에는 각각 녹색과 노란색인 경작지와 주거지가 폭넓게 분포하고 있죠. 이 지뢰 구역 200m 내에는 인구 1200여 명 정도가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곳곳이 지뢰구역인 민간인 출입 통제선 너머로 왕래하는 인원도 날로 증가하고 있는데요, 지난해 기준으로 연인원 4백3십만 명, 3년 사이 35%가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YTN 데이터 저널리즘팀은 접경지역의 민간인 지뢰 사고위험을 파악하기 위해 미확인지뢰 지대 정보에 대해 한미 당국에 정보공개청구를 했습니다.<br /><br />합참은 대외비여서 공개할 수 없다는 답변을, 주한 미군 측은 관련 자료가 없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[조재국 / 평화나눔회 대표·연세대학교 교수 : 지뢰를 매설하고 사용한 주체는 미군이었고 미군은 이미 수십 년 전에 철수해서 갔고 지뢰는 남아 있고, 그 지뢰에 대한 자료는 미군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110704594951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