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유엔은 2000년대 초부터 북한 인권 탄압을 규탄하고 주민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왜 우리나라는 이 결의안 투표할 때 입장이 자꾸 바뀌었던 걸까요.<br /><br />계훈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유엔 인권 결의안은 결국 김정은을 비판하는 내용이라서, 북한은 매번 강하게 반발해 왔습니다.<br /><br />[北 조선중앙TV (2014년 10월) : 미국과 그 추종 세력들의 극악무도한 인권 소동을 무자비하게 짓뭉개버릴 것이다.]<br /><br />우리나라는 인권이라는 인류 보편적 가치가 우선이냐, 아니면 남북 관계 특수성이 우선이냐, 정권마다 결의안에 대한 입장이 달랐습니다.<br /><br />2003년에 처음 유엔 산하기관인 인권위원회에서 결의안이 나왔을 때, 출범 첫해였던 참여정부는 찬반도, 기권도 아닌 아예 불참을 택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윤영관 외교부 장관은 결의안에 찬성하는 것이 북한 문제 풀어나가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한 결과 찬성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후 2004년과 2005년에도 우리 정부는 비슷한 이유로 기권했습니다.<br /><br />2006년에 처음으로 찬성표를 던졌는데, 표결 한 달 전 북한이 1차 핵실험을 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듬해 지금 논란이 되는 2007년에는 표결 한 달 전 2차 남북 정상회담이 열렸고, 북핵 6자회담에서 진전을 봤다는 점이 반영돼 다시 기권으로 돌아섰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당시 청와대 참모들 사이에서도 인권이라는 보편적인 문제는 남북 관계 영향을 받아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[조준혁 / 외교부 대변인 : 정부의 기본정책, 그리고 당시 상황의 여러 가지 제반 여건을 감안해서 그런 표결 입장을 정한 것으로 (생각합니다.)]<br /><br />그 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 때부터는 북핵 6자회담이 개점휴업에 들어가고 남북 관계가 얼어붙으면서 별다른 이견 없이 찬성으로 입장이 굳었습니다.<br /><br />또, 유럽연합이나 일본 등과 함께 인권결의안을 공동 제안하기까지 했으며 이 기조가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계훈희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6101822094519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