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철도파업은 오늘로 23일째로 역대 최장기간 파업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3년 전 파업 때보다 훨씬 많은 대체인력이 투입되면서, 시민 불편이 크지는 않은 상황인데요.<br /><br />사측은 징계 절차에, 노조는 법적 대응에 들어가면서 좀처럼 해결의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이정미 기자!<br /><br />철도파업이 역대 최장기간을 넘어섰군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2013년 철도파업 당시 22일 동안 파업을 하고 23일째에 복귀한 것이 역대 최장 기간이었는데요.<br /><br />오늘이 파업에 돌입한 지 23일째로, 이 최장 기간 기록을 넘겼습니다.<br /><br />코레일은 징계위원회를 열고 파업 참가자들에 대한 징계 절차에 돌입했습니다.<br /><br />주동자 182명에게 사실 조사 절차를 위해 출석할 것을 요구했고, 내일(20일) 자정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무단 이탈로 간주해 중징계하겠다는 입장을 통보했습니다.<br /><br />철도노조는 파업이 최장기로 치달은 책임은 성과연봉제를 일방적으로 추진한 정부와 코레일에 있다고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철도노조에 이어 시민사회단체도 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한 국토교통부 장관을 직권남용으로 검찰에 고발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오늘 사고가 난 지하철 5호선은 서울메트로 관할이고, 코레일이 운영하는 노선에서 운행 차질이나 승객 불편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열차나 지하철 승강장에서 승객들을 만나보면 코레일 파업을 크게 체감하지는 못하는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무려 23일 동안 파업이 지속된 것 치고는 운행 차질이 크지 않은 편인데요.<br /><br />수도권 전동열차가 평시 대비 86%로 줄긴 했지만, KTX나 출근 시간 전동차는 100% 운행하는 등 전체적인 운행률이 83% 정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13년보다 8%p 가까이 많은 열차가 운행되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기본적으로 법적으로 규정된 필수 유지 인력이 남아있고, 대체인력까지 투입됐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지난 2013년과 비교하면 대체인력 투입에서 차이가 납니다.<br /><br />당시에는 기존 직원의 역할을 돌려 4천 명 정도가 대체 투입됐다면 이번에는 기간제 직원까지 신규채용하면서 벌써 5천 명 넘게 투입됐습니다.<br /><br />또, 민간 고속철도회사 SR이 운영하는 수서발 KTX가 개통 전이라서 이 인력을 지원받은 영향도 큽니다.<br /><br />철도노조는 승객 불편이 줄어드는 것은 다행이지만, 대체인력을 많이 투입하는 것은 결국에는 승객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01911572415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