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북한이 10일 노동당 창건일을 맞아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한미 군 당국은 대북 감시 전력을 증강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핵실험이나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감행할 가능성과 더불어 단거리나 중거리 미사일 발사 등 저강도 도발 가능성도 주목 대상입니다.<br />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북한의 도발 가능성은 노동당 창건 기념일이 임박한 것과 더불어 북한의 전략 요지에서 의심스러운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는 핵실험 준비로 추정할 수 있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.<br /><br />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 위성 발사장에서도 최근 차량과 인력 활동이 식별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강원도 원산 일대에 배치된 무수단 중거리 미사일 기지에서도 이동식 발사 차량의 움직임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동시다발적으로 전개되는 북한의 도발 징후에 대해 우리 군과 미군은 정찰기 운용 횟수를 늘리는 등 비상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도발 형태로는 단거리나 중거리 미사일 발사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올해가 노동당 창건 기념일이 71주년으로 이른바 꺾어지는 해, 즉 10년 주기나 5년 주기에 걸리는 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또 동시다발적 도발 징후에 대해 한미 연합사의 대응 태세를 파악하거나 우리 인력과 장비의 피로를 가중하기 위한 기만전술일 가능성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북한이 대륙 간 탄도 미사일로 알려진 KN-08나 KN-14의 성능을 증명한 적이 없는 만큼 장거리 미사일 발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단거리나 중거리 미사일 발사 역시 우리 군의 대응 역량을 노출하는 시험대로 작용했다는 점에서 증강된 한미 연합사의 감시 태세는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6100816010862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