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국내 조선업계의 불황을 극복할 대안 중의 하나로 조선업 중심지인 거제시가 해양플랜트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정부는 현재의 침체된 조선업 분위기 상 대규모 산업단지를 허가해주기는 어렵다는 입장인데,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<br /><br />오태인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경남 거제시 어촌 마을에 고기잡이가 한창입니다.<br /><br />다른 어촌마을과 다를 것이 없지만, 해양플랜트 국가산단이 들어설 곳입니다.<br /><br />지난 2012년 국가산단으로 지정됐는데 첫 삽을 뜨기도 전에 좌초 위기에 놓였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4월 사업시행자인 특수목적법인이 국토부에 승인신청서를 제출했지만 6개월째 답을 얻지 못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[이성신 / 특수목적법인 사장 : 해양플랜트가 호황이 됐을 때 할 부지가 없습니다. 이것을 한곳에 모아서 집중화시키면 검사, 유통, 이동 등 한 곳에서 하면 시너지 효과가 엄청납니다.]<br /><br />국토부는 조선업이 침체한 현재 여건을 고려할 때 국가산단 추진은 무리라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8조 원의 적자를 낸 조선업의 위기가 해양플랜트에서 비롯된 만큼 경쟁력이 떨어졌다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국내조선업계와 조선 전문가들은 국가산단 조성을 서둘러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해양플랜트 수요가 회복하는 시점에 맞춰 시장을 선점하려면 지금이 적기라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국제유가가 다시 회복하는 시기에 해양플랜트 사업을 시작하면 다른 국가에 주도권을 빼앗길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홍진기 / 한국산업연구원 박사 : 2020년 유가가 약 80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. 이후에는 해양플랜트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산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.]<br /><br />거제시도 용역보고회를 개최해 해양플랜트 국가산단의 당위성을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거제시 경기 침체 해소를 위해 1조 8천억 원의 생산 효과와 만 5천여 명의 고용창출 효과 등을 고려해 볼 때 꼭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[권민호 / 거제시장 : (해양플랜트가) 국가 성장 동력인 것은 분명합니다. 축적된 기술을 가지고 해양플랜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양플랜트 산단이 꼭 필요합니다.]<br /><br />특히 정부의 주도가 아닌 지자체와 실입주 기업이 산단 사업비를 부담하는 만큼 빠른 승인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침체 되어 있는 대한민국 조선업이 조선 해양플랜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6100204581456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