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한 지진이 발생하면 도심 건물이나 터널이 붕괴하면서 많은 매몰자가 발생하게 됩니다.<br /><br />이럴 경우 무엇보다 빨리 생존자를 찾아내 구조하는 것이 중요한데, 국내 연구진이 드론과 굴착 기술로 골든 타임을 확보하고 매몰자를 빨리 구조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<br /><br />정혜윤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진으로 건물이 무너진 상황.<br /><br />지휘본부에서 구조대원과 현장 연구진의 긴급 회의가 열렸습니다.<br /><br />미처 대피하지 못한 시민들이 그 안에 고립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골든 타임, 72시간 안에 생존자를 찾아내 구조하는 것이 중요한 상황.<br /><br />구조대는 먼저 붕괴한 건물 위로 드론을 띄워 지하 10m 이내에 있는 생존자를 찾아 매몰 위치를 파악합니다.<br /><br />매몰자가 가지고 있을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와이파이 신호를 탐지하는 겁니다.<br /><br />[이우식 / 건설연 ICT융합연구소 연구위원 : 드론과 무선통신 센서 3차원 모델링 기술이 하나로 융합된 재난현장 맞춤형 인명탐지 기술입니다.]<br /><br />붕괴 상황과 생존자를 파악한 뒤에는 개발된 시스템으로 3차원 지도를 제작해 진입 위치를 정합니다.<br /><br />옆 건물이나 주변 안전한 곳에서 지하 벽체를 뚫고 들어가 생명선을 확보하는 방법입니다.<br /><br />1차 생명선은 골든 타임 안에 생명 유지에 필요한 공기와 물 등을 공급하는 것이 목표인데, 소방대원들은 음파 탐지기와 동작 탐지기 등으로 생존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어 구조대원이 들어가 활동할 수 있는 지름 1m 가량의 2차 생명선을 투입해 생존자를 구조해 냅니다.<br /><br />드론과 센서, 그리고 굴착이 핵심인데, 이미 개발된 기술을 조합해 사용하기 때문에 바로 현장 적용이 가능합니다.<br /><br />[이주형 / 건설연 지반연구소 연구위원 : 붕괴가 생기게 되면 그 건물 주변 건물과 지하 구조물 정보를 미리 분석해서 가장 최적의 생명선 설치 경로를 도출해 낼 수 있습니다.]<br /><br />현재 우리나라에 내진 설계가 적용된 건물은 전체의 30% 정도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붕괴 현장에서 매몰자를 찾아내야 하는 소방대원들에게는 이 같은 방법이 큰 도움이 됩니다.<br /><br />[조진우 / 건설연 지반연구소 수석연구원 : 기존 인명 구호 기술은 붕괴잔해를 직접 헤쳐가며 상당히 위험한 상황에서 긴급 구조를 실시하였는데 본 기술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매몰 된 사람들을 구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5_2017111808144790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