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포항 강진을 통해 국보 제31호 첨성대의 위대함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경주 강진에 이어 이번 포항 강진도 이겨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첨성대가 지진을 견뎌낼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인지 김인철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서기 647년 선덕여왕 때 건립된 첨성대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9월, 경주 지진으로 중심축이 북쪽으로 3cm 기울고 정자석 모서리가 5cm 벌어지긴 했지만 피해가 가벼웠습니다.<br /><br />첨성대는 지난 지진에서 중심축이 이동했지만, 이번 지진에서는 피해가 없었습니다.<br /><br />9.17m의 높이의 첨성대는 부채꼴 모양으로 돌을 27단 쌓아 올렸는데, 중간 출입구 밑 12단까지 돌과 흙으로 다져져 있습니다.<br /><br />출입구 아래를 부풀게 하고, 위쪽은 오그라드는 모양으로 만들었습니다.<br /><br />밑바닥 1.5m 아래엔 모래와 흙을 다져놓았습니다.<br /><br />무게중심을 아래에 두면서 지진 같은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김덕문 / 문화재연구소 안전방재연구실장 : 이런 부분은 지진동이 오면 일종의 완충작용을 합니다. 지진이 났을 때 흔들려도 어느 정도는 완화해 주는….]<br /><br />상층부의 4개의 긴 석재는 우물 정(井)자 모양으로, 밑에서 올라오는 진동을 한 번 더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.<br /><br />경주 지진 때 중심축이 기울어졌지만, 구조상 붕괴 가능성이 적은 것도 바로 이런 축조 기술에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만큼 지진에 대비한 건축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[김덕문 / 문화재연구소 안전방재연구실장 : 첨성대는 어떻게 보면 지진에 대비해 구조상으로 이미 안전대책이 다 실려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.]<br /><br />천 년 전 경주에서는 백 명이 숨질 정도로 큰 지진이 발생했지만, 첨성대는 견뎌냈습니다.<br /><br />재난에 대비했던 선조들의 뛰어난 건축기술이 천4백여 년이 흐른 지금도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김인철[kimic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111822171779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