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얀마에 거주하는 이슬람 소수민족 로힝야족이 정부의 탄압으로 62만여 명 정도가 방글라데시로 피신하자 국제사회는 미얀마의 실권자 아웅산 수치 여사에게 책임이 있다며 비판해 왔습니다.<br /><br />마침 프란치스코 교황이 미얀마를 방문하면서 인권 운동가들은 교황이 로힝야족 문제를 언급하기를 바랐지만, 교황은 우회적으로 이 문제를 거론하는데 그쳤습니다.<br /><br />박병한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로마 가톨릭 수장으로 처음 미얀마를 방문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첫 공개 연설에서 로힝야족 문제를 직접 거론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그는 아웅산 수치 여사와 환담 후 행한 연설에서 미얀마를 조국으로 부르는 사람들은 모두 기본권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[프란치스코 교황 : 종교적 차이가 분열과 불신의 이유가 돼서는 안되며 단결과 용서, 관용의 힘이 돼야 합니다.]<br /><br />수치 여사도 민족 분규 문제가 있음을 시사하면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[아웅산 수치 / 미얀마 국가자문역 : 우리 정부가 직면한 문제 가운데 라힌주 (난민촌) 문제가 전 세계의 관심을 끌어 왔습니다.]<br /><br />관측통들은 미얀마 정부를 직접 자극하지 않기 위해 교황이 우회적으로 표현했지만, 말하고 싶은 것은 충분히 시사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로힝야족 난민과 인권단체는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.<br /><br />방글라데시 난민촌에서 일하는 로힝야족 활동가들은 교황이 로힝야족 위기를 전혀 언급하지 않아 실망스럽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슬람계인 로힝야족은 불교가 대다수인 미얀마에서 차별과 박해를 받아왔고 양측간 충돌이 빚어지자 미얀마군이 대대적 소탕에 나서 수백 명이 숨지고 62만여 명이 방글라데시로 피신하는 등 심각한 인권 문제로 떠올랐습니다.<br /><br />YTN 박병한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112913245087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