포항 지진 당시, 국내에서 처음으로 관측된 '액상화' 추정 현상에 대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브리핑이 시작됩니다.<br /><br />중대본은 지난달 19일부터 '액상화' 현상의 원인과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진앙 부근을 중심으로 10곳에서 시추 작업을 벌였습니다. 브리핑 현장을 연결합니다.<br /><br />[정종제 /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총괄조정관]<br />안녕하십니까?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실장 정종제입니다.<br /><br />지금부터 포항 지진과 관련된 액상화 현상에 대한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하겠습니다.<br /><br />포항 지진 발생 이후 액상화로 추정되는 현상 17건이 신고되었으며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기상청이 지난 19일부터 액상화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 분석을 공동으로 수행 중에 있습니다. <br /><br />그동안 조사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전문가 자문과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쳤습니다.<br /><br />먼저 시추 조사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그 내용은 판넬을 통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. <br /><br />시추 조사의 위치는 진앙지와의 거리, 액상화 피해 신고 지역 그리고 액상화 우려 지역 등 다섯 가지를 선정 조건으로 해서 총 10개 소를 선정하여 시추하였습니다.<br /><br />10개 소 선정 과정에서 액상화 추정 지역으로 신고된 17개에 대한 현지조사를 시행하였고 해당 지역들을 대표할 수 있는 위치를 시추 조사에 포함하였습니다.<br /><br />시추 조사 자료는 액상화 가능 분석에 활용하였습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액상화 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용한 방법과 분석 결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 <br /><br />액상화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본 조사에서는 국내의 설계 기준에 규정된 액상화 판단 방법과 일본에서 액상화 위험도를 분석하는 방법 등을 적용하였습니다.<br /><br />먼저 채취된 토지 시료의 입도 분석 등으로부터 액상화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였습니다.<br /><br />분석 결과 10개 소 시추 위치 중 5개 소가 액상화 발생 가능 지반으로 판명되었습니다.<br /><br />합동조사단은 5개 소의 액상화 발생 가능 지반에 대하여 간편 예측법에 의한 액상화 안전율을 상정하였는데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.<br /><br />또한 국내 기준에는 없지만 액상화 지반이 많은 일본에서 액상화 위험도를 판정하는 액상화지수 방법을 액상화 발생 가능 지반으로 판정된 5개 소에 적용, 분석하였습니다.<br /><br />분석 결과 4개 소는 액상화지수가 5이하인 낮음으로 판명된 반면 망철리 논은 액상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301_2017120110004155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