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대북 해상봉쇄...한미 양국 시각차 / YTN

2017-12-02 0 Dailymotion

■ 김열수 /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, 김진무 /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<br /><br /> <br />북한의 미사일 도발 뒤 미국은 추가 대북제재를 검토하고 있습니다. 그 가운데 하나가 해상봉쇄인데요. <br /><br />청와대는 해상봉쇄에 참여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<br />한마디로 한국과 미국 간의 의견이 다른 상황입니다.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대북제재에 대해서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 그리고 김진무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<br /> <br />해상봉쇄, 먼저 개념이 궁금한데요. 해상봉쇄라는 게 선박의 출입을 완전히 막겠다는 겁니까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네, 해상봉쇄를 얘기할 때는 꼭 여기에 뒤따라오는 것이 해상차단이라고 하는 것이 있거든요. 그래서 해상차단과 해상봉쇄의 개념을 좀 이해를 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. <br /><br />해상차단이라고 하면 영어로 인터딕션이라고 그럽니다. 그러면 모든 선박을 사실상 검문, 검색하는 거고요. 해상봉쇄라고 하는 것은 블로케이드거든요. <br /><br />선박이 들락날락하지 못하도록 하는 거죠. 그러니까 여기에 대해서 굉장히 큰 차이가 있는데요. <br /><br />군사적으로 동원이 되면 차단을 넘어서 봉쇄로 넘어가기 때문에 그래서 해상봉쇄로 보통 우리가 사용하고 있다라고 봅니다. <br /><br /> <br />얼핏 보기에는 긴 해안선이, 서해안도 있고 동해안도 있는데 그걸 봉쇄한다는 게 쉽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드는데요.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해안선을 따라고 봉쇄하는 것은 아니고요. 기본적으로 북한으로 들락날락거릴 수 있는 길은 뻔하거든요. <br /><br />서해는 서해 쪽에, 남쪽에서 차단하면 되는 거고 동해 같은 경우에는 결국은 일본을 지나서 저쪽 시베리아 쪽 방향으로, 블라디보스토크 쪽으로 가는 방향이 있기 때문에 그 방향이나 그렇지 않으면 우리의 해협 있지 않습니까? <br /><br />한일 간의. 그쪽으로 내려가는, 대한해협 쪽으로. 죄송합니다. 세 가지거든요. 그래서 차단하는 것이 세 군데만 막으면 되는 거예요. <br /><br />그래서 이게 생각보다 해안선을 따라서 막는 것이 아니고 북한을 들락날락거리는 것을 막기 때문에 그런 문제가 있는데요. <br /><br />기본적으로는 아마 중국과 해상교역이 많으니까 그게 예를 들면 평양 인근에서 출발해서 중국의 천진항으로 가버리면 여기에 대해서는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고요. <br /><br />또 러시아 쪽으로 보면 원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20210004309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