앞으로 5년 동안 총 50조 원이 투입되는 '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'의 첫 대상지 68곳이 최종 선정됐습니다.<br /><br />경기 광명시엔 공공임대주택을 대량 공급하고 경남 통영은 폐 조선소를 활용해 관광·해양 산업을 일으키는 방안들이 추진됩니다.<br /><br />차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철거 위주의 재개발과 달리 주택 개량과 각종 기반시설 설치를 통한 거주 환경 개선에 초점을 둔 도시재생 뉴딜 사업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 핵심 공약이기도 했던 뉴딜 사업 첫 대상지가 윤곽을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전국 68곳으로 경기도가 광명, 안양, 남양주 등 8곳으로 가장 많고 전북과 경북, 경남이 6곳, 세종시가 한 곳으로 가장 적습니다.<br /><br />노후 주거지를 정비한 자리에 공공임대 주택을 공급하거나 공공임대 상가를 조성하는 사업이 대표적입니다.<br /><br />경기도 광명시는 무허가 건축물 밀집 지역과 상습 침수 지역이 대상으로 공공임대 주택 284호 공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도심 재생 사업은 5곳이 선정됐는데, 부산시 사하구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해 경로당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업을 지원받게 됐습니다.<br /><br />경남 통영은 폐 조선소 부지를 해양공원 또는 창업센터 등으로 탈바꿈하는 계획을 추진하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지진 피해 지역인 포항시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돼 재생 사업을 할 수 있도록 내년 법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부동산 가격 상승이 우려되는 만큼 전 지역이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서울은 아예 제외했고, 새롭게 선정된 지역도 가격 동향을 주시하겠단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재원 마련 등 남아 있는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정부 재정과 기금, 공기업 자금을 통해 조달하겠다는 계획인데, 5년간 50조 원을 마련해야 하는 만큼 만만찮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김규정 / NH투자증권 연구위원 : 이들 재정 조달이 계획대로 잘 실현이 되고 마중물 투자 이후에 민간 투자까지 확보할 수 있어야만 지속적인 재생사업 그리고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서….]<br /><br />이와 함께 땅값 상승 때문에 주민들이 오히려 내몰리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, 주민들과 원만하게 협력하며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지가 남은 중요한 과제입니다.<br /><br />YTN 차유정[chayj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121422194181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