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숨진 신생아들에 '항생제 남용' 가능성 제기 / YTN

2017-12-19 0 Dailymotion

■ 배상훈 / 서울디지털대 경찰학과장, 손정혜 / 변호사<br /><br /> <br />전문가 두 분과 함께 사건 사고 소식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배상훈 서울디지털대학교 경찰학과 학과장, 손정혜 변호사와 함께하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 사건. 4명의 신생아들, 오늘은 장례식을 치를 거라고 해요.<br /><br />어제 부검까지 마친 상황이고 사망 원인이 무엇인지 조금씩 좁혀들어가고 있는데 큰 틀에서 보면 아직 정확하게 결과가 나온 건 아닙니다마는 인재일 가능성이 조금 있는 그런 상황인 것 같은데 지금 신생아 4명 가운데 3명이 같은 세균이 검출됐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? 이건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보통 장내 상재군이라고 합니다. 보통 어른들 같은 경우에는 장내에 이런 균들이 많이 있습니다. 이게 유익하다, 무익하다 판단할 수는 없는데 그게 혈액에서, 지금 죽은 아이들의 혈액에서 나왔다는 게 사실은 가장 큰 문제가 되겠고요. 그것이 복부팽만, 말하자면 소대장 내에 가스 팽창과 연관이 있는가. 그리고 그러면 그것이 경로가 어디인가, 감염 경로가 어디인가. 이런 것들이 지금 추적되고 있는 상태고요. <br /><br />아직 역학조사는 상당히 오래 걸립니다. 보통 2, 3주 걸리기 때문에 그 결과는 아직 안 나왔고 그걸 지금 추적하고 있는 단계인데 아무래도 지난달, 지지난달에 같은 병원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관련성이 있지 않을까 이렇게 추정하고 있는 단계입니다.<br /><br /> <br />지금 나온 균이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이라는 건데요. 이게 어쨌든 신생아 경우에는 외부에서 감염이 돼서 몸에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일단은 신생아가 이런 균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보다는 외부에서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라는 것이고요. 특히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의 감염 경로가 보통 혈액이라든가 침이라든가 손이라든가 외부에서 호흡기를 통해서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고요. 특히 이 균이 과거에는 병원에서 의료감염 형태로 발견된 적들도 꽤 있어서 혹시 어떤 감염 관리에 대한 부실 가능성, 의료 감염 가능성도 배제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.<br /><br /> <br />그래서 병원 내 감염 가능성에 무게가 쏠리고 있는 거고요.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특히 이 병원에서 이 균 자체가 항생제 내성이 굉장히 강한 균이다 보니 병원에서 혹시 항생제를 오남용함으로 인해서 이런 균 같은 것들을 발생시키고 감염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121909283776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