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지난 18일 국가 안보 전략 문건을 발표하면서 인도 태평양 전략과 관련한 구상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지만 지리적 범위나 국제 협력체 구성 여부 등과 관련해 명확하지 않은 점이 많아서 여전히 초보적인 검토 단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돕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인도 태평양 용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달 아시아 순방에서 본격적으로 사용하면서 주목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그렇지만, 용어만 사용했을 뿐 구체적인 내용을 전혀 설명하지 않아서 다양한 논란을 유발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8일 발표한 국가 안보 전략 문건은 인도 태평양 개념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는 내용이 일부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먼저 지리적 범위를 인도 서부 해안에서 태평양 서부 해안까지로 적시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인도 태평양 개념 차원에서 호주, 인도, 일본과의 협력을 추구한다고 명시했지만, 다른 나라 참여 가능성도 열어놓았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중국이 최근 팽창주의 행태를 하고 있다면서 비판하는 내용을 포함해서 중국 견제 의도가 있다는 점을 숨기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그렇지만, 인도 태평양 용어를 둘러싼 모호성은 여전히 상당한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인도 태평양 부분에서 인도를 거론했는데도, 별도 항목인 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부분에서 인도를 또 다뤄서 개념 정리에서 심각한 혼선이 있다는 점을 보여줬습니다.<br /><br />참가국을 4개국이라고 지목했지만, 결국 아세안, 즉 동남아 국가 연합이나 에이펙, 즉 아태 경제 협력체 등과 같은 다자 기구나 조직을 구성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전혀 방향을 제시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중국 견제 의도는 밝혔지만, 특정 국가를 배제하지 않는다고 강조해서, 중국 참여 문제는 여전히 모호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트럼프 행정부가 인도 태평양 개념을 단순히 지리적 구분을 위해 사용할 것인지, 아니면 전략적 편짜기 차원에서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고, 개념을 정리하는데,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관측됩니다.<br />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22505033270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