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은 지난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폐막식에 당시 북한의 최고위급 3인방, 황병서, 최룡해, 김양건을 모두 내려보내 우리 측과 짧은 만남을 갖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런 만큼 북한이 이번 평창 올림픽에 참가할 경우 어떤 인물이 대표단을 이끌 지도 관심입니다<br /><br />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아시안게임 폐막식을 앞둔 지난 2014년 10월.<br /><br />황병서와 최룡해, 김양건 등 당시 북한 핵심 권력 3인방이 인천을 찾았습니다.<br /><br />이들은 당시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류길재 통일부 장관 등과 오찬을 함께하면서 남북관계의 전환점이 마련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을 낳았습니다.<br /><br />[황병서 / 당시 북한군 총정치국장 : 이 기세로 나가면 세계에서 아마 패권 쥘 것 같아요. 우리 민족이 세계 패권에서 같이 나갑시다. 손 잡고!]<br /><br />북한이 이번 평창올림픽에 참가할 경우 이에 버금가는 인사들이 내려올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.<br /><br />여야 가릴 것 없이 누구라도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밝힌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대로 남북 당국 간 유의미한 접촉을 꾀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순수 스포츠 교류에만 머물 경우 최근에 국가체육지도위원장에 발탁된 최휘 노동당 부위원장이 대표단을 이끌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전임자 최룡해 역시 국가체육지도위원장 자격으로 지난 2016년 브라질 하계 올림픽에 북한 대표단을 이끌고 참석했습니다.<br /><br />[양무진 /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: 김정은 위원장의 측근이면서 정치국 후보위원이고, 국가체육지도위원장인 최휘가 대표단장으로 평창에 올 가능성이 높고 남북관계 문제를 뒤에서 조율할 수 있는 통전부 부부장인 맹경일 또는 정종수 등이 올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합니다.]<br /><br />또, 참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여동생 김여정이 대표단에 포함되는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지만, 김정은 일가가 남북 접촉에 직접 나설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앞으로 다양한 참가 조건이 예상된다는 점에서, 올림픽 참가의 최종 결정과 북측 대표단의 성격도 여기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관측됩니다.<br /><br />YTN 황혜경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10213174900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