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인권 대한민국' 첫발...사회 인식 정착돼야 / YTN

2018-01-03 2 Dailymotion

지난해 '촛불 혁명' 이후 인권에 대한 목소리가 부쩍 커지면서 사회 구조와 제도가 점차 바뀌고 있지만, 진정한 의식 변화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서로를 동등한 인격체로 존중하는 차별 없는 사회를 꿈꾸는 YTN 특별기획, '인권 당당, 대한민국' 그 마지막 시간은 우리 사회 변화상을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조은지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[최민화 / 민청학련 사건 고문 피해자 : 얼굴에 수건을 씌우고 물을 붓는 거예요. 그게 소위 '통닭구이 물고문'이 되는 거죠.]<br /><br />서울시 예장동 4-1번지, 군부독재 시절 국민의 일상을 통제했던 남산 중앙정보부 6국 자리입니다.<br /><br />극악무도한 고문으로 인민혁명당과 민청학련 사건을 조작했던 '인간성 상실의 공간'이 인권센터로 바뀝니다.<br /><br />고통스러운 과거에 말을 걸고 미래에 치유 편지를 보내자는 의미로 빨간 우체통이 설치되고, 여섯 개 기둥마다 인권 메시지를 담을 예정입니다.<br /><br />국가 폭력기관의 극적인 변신입니다.<br /><br />[서해성 / 서울시 기념사업본부 총감독 : 별명이 고기 육 자(肉)의 '6국'이었습니다. 고기 한 점을 떼어줘야만 나올 수 있다는 뜻입니다. 고통스러웠던 국가폭력이 다시 미래를 잇는 기억의 일부분이라는 겁니다. 부인한다고 지워지는 것도 아니잖아요.]<br /><br />서슬 푸른 공권력은 이제 인권과 평화를 말합니다.<br /><br />물대포로 시민을 겨냥하고, 차 벽으로 광장을 고립시켰던 과거에서 탈피해 변화를 선언했습니다.<br /><br />[이철성 / 경찰청장(지난해 9월) : 집회·시위의 자유는 헌법상 보장된 국민의 핵심적인 기본권이자 민주주의의 척도입니다. 국민이 신뢰하는 인권 경찰을 향한 경찰 개혁이 순항할 수 있도록….]<br /><br />보수정권 10년을 거치며 잔뜩 쪼그라들었던 국가인권위원회도 순풍을 탔습니다.<br /><br />이른바 '촛불 혁명'으로 탄생한 새 정부는 6년 만에 인권위원장의 특별보고를 받는 등 힘을 싣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조직과 인원을 늘리고, 멀리는 차별금지법 제정까지 바라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조영선 / 국가인권위원회 사무총장 : 인간과 인간이 서로 차별받지 않고 동등한 인격적 관계에서 공존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저희 인권위가 해야 할 가치 방향입니다.]<br /><br />하지만 시스템 정착만큼이나 중요한 건, 정권 교체나 외부 입김에 좌우되지 않는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인권 의식은 곧 국격이며, 타인에 대한 배려와 공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10405203572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