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새해 벽두부터 남북 대화에 속도를 내면서 한반도 정세 전환과 관련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전략 구상이 부분적으로 노출됐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단기적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남북 관계 개선 의지를 충분히 활용하면서 중장기적으로 미국과의 핵 담판을 성사시키는 방안을 기대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돕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3일 리선권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장이 텔레비전에 등장한 것은 형식이나 내용에서 모두 이례적이었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과 관련한 용어 사용에서 매우 조심하면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문 대통령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명백하게 표현했습니다.<br /><br />[리선권 / 위원장 :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적극적인 지지 의사를 표시하면서, 해당 부문에 실무적 대책들을 세울 것을 지시하였다는 보고를 받으시고, 그에 대해 긍정적으로 높이 평가하시면서 환영의 뜻을 표명하시었습니다.]<br /><br />남과 북이 평창 올림픽 참가에 대한 문제를 놓고 대화를 하겠지만, 궁극적으로 남북 문제 전반으로 관계 개선이 확대되기를 바란다는 뜻도 표출했습니다.<br /><br />[리선권 / 위원장 : 북남 당국 간 회담이 현 상황에서의 북남 관계 개선에서 의미 있고, 좋은 첫걸음으로 되는 만큼.]<br /><br />지금까지 남북 관계가 단절된 원인과 배경에 대해 남과 북이 공동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인식을 보인 것도 전향적인 대목입니다.<br /><br />[리선권 / 위원장 ; (남북 관계 개선은) 전적으로 북남 당국이 이 문제를 어떻게 책임적으로 다뤄 나가는가 하는데 달려 있다고 강조하셨습니다.]<br /><br />지난 1990년대 초 미 국무부에서 일했던 로버트 칼린과 조엘 위트 전 북한 문제 담당관도 리선권 위원장 발표에 대해 남북 관계 개선에 대한 김정은 위원장의 진지한 의지가 반영됐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물론 김 위원장의 최종 목표가 한미 동맹 균열이나 대북 제재 물타기라는 일부 전문가들의 지적도 상당히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북한의 의도와 전략에 유의하면서도 우리의 의도와 전략을 관철하는 모습을 국내외적으로 균형감 있게 과시하는 역량이 남북 대화 국면을 효과적으로 이끌어갈 수 또 다른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10604530846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