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 연구팀이 우리 토종개 유전자를 분석해서 조상을 찾아냈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토종개 뿌리를 중국이다, 일본이다, 말들이 많았는데, 이번에 확실히 정답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승배 기자!<br /><br />황금 개의 해를 맞아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나온 것 같습니다. 우선 우리 토종개부터 살펴보겠습니다. 어떤 개들이 있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가장 대표적인 개는 단연 진돗개입니다.<br /><br />턱이 단단하고 다부진 체격에, 꼬리를 보면 하늘을 향해 뻗어 있습니다.<br /><br />맹수를 만나도 도망가지 않고 용감하게 싸우다가도 주인을 보면 살갑게 꼬리를 흔듭니다.<br /><br />영리해서 말귀도 잘 알아듣습니다.<br /><br />보통 흰 개와 누렁이가 친숙한데요, 눈 위에 동그란 무늬가 있어서 눈이 네 개처럼 보이는 '네눈박이', 그리고 호랑이처럼 줄무늬가 있는 '호구', 그리고 검정 개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진도에 진돗개가 있다면, 경북 경주에는 동경이가 있습니다.<br /><br />겉모습은 진돗개와 비슷하지만, 꼬리가 짧거나 아예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.<br /><br />경북 경산에는 '삽살개', 영주에는 '불개', 전북 임실에는 '오수개'가 있고요. 북한에는 '풍산개'가 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저도 진돗개만 생각이 났었는데, 생각보다 토종개 종류가 많네요.<br /><br />자 그럼, 본격적으로 연구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. 우리 토종개의 조상, 어떻게 확인이 됐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중국 개도 아니고 일본 개도 아닙니다.<br /><br />국내 연구진이 우리 토종개와 외국 개 33개 품종 2천2백50마리 유전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, 늑대와 코요테와 가까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이해하기 쉽게 그래프를 보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 화면에 보이는 그림인데요, 개 종류마다 유전학적으로 얼마나 가까운지를 보여주는 내용입니다.<br /><br />왼쪽 아래 모서리에 있는 게 늑대, 코요테인데요, 바로 위에 진돗개와 풍산개, 경주 개가 있습니다.<br /><br />늑대 개로 알려진 '시베리안 허스키', 그리고 '썰매 개 '알래스카 말라뮤트'보다도 가깝습니다.<br /><br />거리가 가깝다는 것은 우리 토종개가 그만큼 늑대와 코요테 유전자를 많이 공유하고 있고 야생성도 많이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.<br /><br />토종 개 가운데서 풍산개가 늑대 유전적 특징이 가장 많고 경주 동경이와 진돗개 순서로 분석됐습니다.<br /><br />우리 개는 또 혈통이 많이 섞이지 않아서 유전학적으로도 독창성을 많이 갖고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11112444540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