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달 이대목동병원 중환자실에서 숨진 신생아 4명은 시트로박터 프룬디균 감염에 의한 패혈증으로 숨졌다는 국과수 조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.<br /><br />경찰은 관리 소홀 책임이 있는 주치의 등 병원 관계자들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김태민 기자!<br /><br />국과수가 발표한 신생아 사망 원인부터 전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국과수는 이대목동병원 중환자실에서 숨진 신생아 4명이 '시트로박터 프룬디균' 감염에 의한 패혈증 때문에 숨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시트로박터 균은 신생아들이 맞은 영양제 수액 세트에서도 검출됐는데요,<br /><br />이에 따라 주사제 자체가 감염됐거나, 혹은 주사제를 투여하는 과정에서 감염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고려된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국과수는 또 로타바이러스나 괴사성 장염에 의한 사망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는데요,<br /><br />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된 다른 생존자가 있을 뿐 아니라, 부검결과 숨진 4명 가운데 2명에게서만 장염 소견이 발견됐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외에 주사제에 첨가한 전해질의 농도에는 이상이 없어, 조제 오류 가능성은 낮고,<br /><br />주사 튜브 안으로 이물질이 들어갔을 가능성도 없다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그렇다면 앞으로 경찰 수사 계획은 어떻게 됩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달 16일 사망사건이 일어난 지 약 한 달여 만에 국과수의 정밀 조사 결과가 발표됐는데요,<br /><br />경찰은 세균 감염이 사망 원인으로 꼽힌 이상, 의료진의 관리 소홀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중환자실 의료진 관리책임이 있는 주치의 3명과 당직 전공의, 수간호사 등 모두 5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또 수사 진행에 따라 다른 의료진 등 추가로 피의자를 입건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경찰은 그동안 중환자실 당직 업무를 맡은 전공의와 간호사, 교수 등 30여 명을 소환해 조사를 벌여왔습니다.<br /><br />국과수 조사 결과가 발표된 이상, 피의자들을 상대로 주사제 감염 관리에 소홀한 점이 있었는 지 집중 추궁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다음 주에는 신생아 중환자실 주치의인 조 모 교수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11210004477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