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반기성 / 케이웨더 예보센터장<br /><br /><br />서울이 너무 추우니까 서베리아라는 말까지 나왔습니다. 아침에 출근하는 데 10여 분 걷는데도 얼굴이 아플 지경이었습니다. 한동안 미세먼지 때문에 고생을 하다가 이번에는 혹한, 전문가에게 좀 더 자세히 듣겠습니다.<br /><br />케이웨더 반기성 예보센터장 초대했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안녕하십니까.<br /><br /><br />왜 이런 겁니까, 날씨가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가장 큰 원인은 일단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죠. 그래서 북극의 한기가 강력하게 내려오는 형태인데 올 겨울에 보면 북반구 쪽의 북극한기가 번갈아 내려오고 있어요.<br /><br />미국 동부 지역 그다음에 유럽 지역, 아시아, 동아시아 지역. 그러니까 이렇게 내려오는 것이 결국 기후변화로 인해서 북극 기온이 올라가기 때문에 일어나지 않습니까?<br /><br />그러다 보니까 북극의 한기가 막아지는 제트기류가 약해지고 그러다 보니까 제트기류가 남쪽으로 쳐져서 내려오는데 처져 내려오면 북극 기온이 내려오거든요. 이번 같은 경우인데 얼마나 강하게 내려오느냐에 따라서 그 지역의 한파가 더 강해집니다.<br /><br />최근까지 미국 동부 쪽으로 제일 강하게 내려갔어요. 그래서 폭설, 한파가 있었고 두 번 정도 유럽 쪽에 아주 강한 폭설과 폭풍이 있었을 때도 그쪽으로 강하게 내려갔고요. 최근에는 동아시아 쪽으로 가장 강하게 내려오고 있습니다. 그러다 보니까 우리나라 쪽으로 아주 강한 한파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죠.<br /><br /><br />한동안 일주일 동안 따뜻해서 그때 미세먼지 때문에 고생을 많이 했었는데 또 지금은 한참 오랫동안 춥고, 다음 주까지 춥다는데 이건 왜 그런 겁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미세먼지하고 추위하고는 반대로 갑니다. 대개 날씨가 이렇게 춥다는 이야기는 강한 시베리아기온이 확장한다는 얘기고 그럼 바람이 강하거든요. 그럴 경우 미세먼지가 대기중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농도가 굉장히 낮아져요.<br /><br />그런 데 지난주에 굉장히 따뜻했지 않습니까? 따뜻하다는 이야기는 이동성 고기압을 받는다는 얘기이고 그럼 대기가 안정되고 영향을 바람은 약해요. 그러다 보니까 미세먼지 농도가 안에서 정체가 되거든요.<br /><br />그래서 축적되는 형태가 되다 보니까 고농도의 미세먼지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. 겨울에는 추울 때는 미세먼지 농도는 좋습니다. 따뜻해지면 미세먼지 농도는 다시 올라갑니다.<br /><br /><br />그런데 북극발 한기는 항상 내려올 텐데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8_2018012514190439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