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악의 미세먼지 사태를 겪은 서울시가 내년부터 오래된 경유차의 서울 도심 진입을 막겠다는 고강도 대책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이번 기회에 거의 유명무실해진 혼잡통행료 제도를 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유투권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2014년 중국 베이징에 못지않은 심각한 미세먼지로 몸살을 앓은 프랑스 파리, 곧바로 대중교통 요금 면제와 묶은 강제 차량 2부제를 실시해 급한 불을 껐습니다.<br /><br />이어 지난해에는 차량 환경 등급제를 도입해 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하위 2개 등급의 시내 진입을 금지했습니다.<br /><br />올해부턴 2010년 이전에 등록된 경유 차량으로 금지 대상을 확대했습니다.<br /><br />미세먼지 문제로 연초부터 홍역을 치른 서울시는 프랑스 파리와 같은 차량 환경 등급제를 조기에 도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모든 차량을 0에서 6등급까지로 나눠 내년부터는 5등급과 6등급 차량은 사대문 안쪽 도심으로 진입하는 걸 막겠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2009년 9월 이전의 경유 차량과 2000년 이전의 휘발유 차량, 41만여 대가 대상입니다.<br /><br />장기적으론 서울 시내 전역으로 금지 범위를 넓히겠다는 생각입니다.<br /><br />[권민 / 서울시 대기정책과장 : 내년에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고, 자동차 번호판 인식 시스템을 갖추게 되면 단속과 함께 과태료를 부과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.]<br /><br />프랑스 파리에서도 차량 등급제가 시행되고 미세먼지가 12% 감소한 만큼, 서울에서도 적지 않은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기회에 혼잡통행료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영국 런던의 경우, 혼잡통행료를 도입하고 도심 통행량이 35%까지 줄어들었습니다.<br /><br />[이세걸 /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: 한 번도 통행료를 인상도 안 했고, 오히려 면제차량이 늘어났고, 그런 부분도 포함해서 검토해달라….]<br /><br />서울의 일상을 바꿀 수 있는 강도 높은 미세먼지 대책들이 앞으로 어떻게 자리를 잡아갈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YTN 유투권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12905042257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