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차기 국회의장 자리를 놓고 여야가 벌써부터 '의사봉’ 쟁탈전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원내 1당으로 의장 자리는 자신하던 민주당은 의석수에 변동이 예상되자 난감해 했습니다. <br> <br>이동재 기자입니다. <br> <br>[리포트]<br>야당의 반발에도 새해 예산안을 처리하며 '친정'에 도움을 주거나 <br> <br>[정세균 / 국회의장(지난해 12월)] <br>"11시간 동안 여러분들이 시간을 가지신 거 아니에요. <br> <br>원래 소속이던 당이 추진하는 법안을 직권상정하기도 합니다. <br> <br>[정의화 / 전 국회의장(2016년 2월)] <br>(테러방지법은 직권상정 요건을 갖춘 겁니까?) "저는 일단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.” <br> <br>국회의장은 당적이 없지만 안건을 상정하는등 일정한 재량권을 갖습니다. <br> <br>정세균 의장의 임기는 오는 5월 말 <br><br>국회의장은 원내 1당이 맡는게 관례로 당초 후반기 의장도 민주당 몫이 점쳐졌지만 재보선 결과등에 따라 한국당에 기회가 갈 수도 있는 상황이 됐습니다. <br> <br>민주당에서는 문희상, 이석현, 박병석 의원등이 동료 의원들 행사마다 얼굴을 내비치며 내부 경쟁을 벌이고 있고 자유한국당에서는 김무성, 심재철, 정갑윤 의원등이 새롭게 거론되면서 의장 탈환을 노리고 있습니다. <br><br>의장을 빼앗기면 국정 운영에 부담을 받는 민주당은 원내 1당이 유지되는 시점에 선거를 치른다는 전략을 세웠습니다. <br> <br>향후 2년간 의사진행 주도권이 달린 '의사봉' 쟁탈전이 달아오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이동재입니다. <br> <br>move@dong.com <br>영상취재 : 윤재영 <br>영상편집 : 배시열 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