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방남 이후 미국 정부는 대북압박을 강조하면서도 대화의 문을 열어 놓으며 북한에 메시지를 잇따라 보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북 언급을 자제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주 방한할 딸 이방카를 통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여동생 김여정을 비롯한 북한 대표단을 의도적으로 무시한 펜스 미 부통령.<br /><br />북미 고위급 접촉의 기대를 무산시킨 뒤 대북 강경 기조를 재확인하면서,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도 열어뒀습니다.<br /><br />[마이크 펜스 / 美 부통령 : 북한이 (핵과 미사일 프로그램 포기를) 시작하면 미국과 국제사회의 대북 기조 변화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.]<br /><br />틸러슨 국무장관과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각기 대화와 최대 압박에 방점을 찍으며 강온 양면 전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허버트 맥매스터 / 美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: 우리는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김정은 정권을 압박해야 합니다. 이 잔혹한 정권은 전 세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남북정상회담 카드를 꺼내 든 상황에서 대북 언급을 자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미 양국 정상의 통화는 평창올림픽 개막 전인 지난 2일이 마지막이었고, 미일 두 정상은 지난 주 통화에서 대북 압박 기조를 확인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 침묵 속에 이번 주 방한하는 딸 이방카, 백악관 선임 고문이 내놓을 메시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을 접견한 자리에서 남북과 북미 대화 등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을 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한반도 긴장 완화 국면 속에 한미 양국의 물밑 조율도 속도를 내는 가운데 북미 양측이 대화의 출구를 모색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22009231853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