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“직접 판례 찾아드려요”…이젠 AI 변호사 시대

2018-02-27 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인간과 바둑을 두고, 환자의 치료법까지 추천하는 등 인공지능 AI의 역할이 계속 넓어지고 있는데요. <br> <br>국내에선 변호사의 업무부담을 덜어 줄 AI 변호사가 업무에 도입됩니다. <br> <br>김유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소송 업무에서 가장 오랜 시간을 차지하는 건 법령과 판례 검색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이제는 변호사 대신 AI가 이런 일을 하게 됐습니다. <br> <br>[김유빈 / 기자] <br>"지금까지는 법령과 판례를 찾으려면 두꺼운 법전이나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해야 했는데요. 인공지능 시스템을 활용하면 이런 작업에 드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" <br> <br>학교폭력 사건과 관련한 법령과 판례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비교해봤습다. <br><br>변호사가 집중해도 수작업으로 적합한 법령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. <br> <br>[김형우 / 변호사] <br>"(의뢰인이) 기다리는 시간 동안 변호사가 해당하는 법을 찾아서 준비하는 건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." <br><br>AI 시스템에 검색어를 넣자 3분 만에 사건에 적합한 법령은 물론 판례까지 찾아 줍니다.<br> <br>검색어가 전문 법률용어가 아니어도, AI가 이를 분석해 연관성 높은 판례와 적용된 법률을 찾아주는게 핵심 기술입니다. <br> <br>[서명석 / AI 개발연구소 전무] <br>"자료를 찾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면 일반인들이 법률 전문가에게 지급해야 할 금액도 줄어든다고…" <br> <br>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AI가 법률시장 문턱을 낮추고, 변호사의 역할에도 변화를 가져올 지 주목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유빈입니다. <br> <br>김유빈 기자 eubini@e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김민정 <br>그래픽 : 조한규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