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생아 수가 점점 줄더니 급기야 지난해에서는 출생아 수가 사상 최저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출생아는 줄고, 반대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면서 80~90대 사망자가 늘면서 지난해 12월에는 사망자 수가 처음으로 출생아 수를 추월했습니다.<br /><br />취재 기자 연결합니다. 김현우 기자!<br /><br />지난해 출생아 수가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통계청이 지난해 출생 관련 자료를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우리나라 출생아 수가 35만 명대로 추락했습니다.<br /><br />1970년대 관련 통계가 작성 이후 최저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출생아 수는 35만 7천여 명으로 1년 전의 40만 6천여 명보다 4만 8천여 명, 12% 정도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인구학자들 사이에서 한 해 출생아 수 30만 명대는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를 합계출산율이라고 하는데요.<br /><br />지난해 이 합계출산율은 1.05명으로 역시 역대 최저 기록을 세웠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주 출산연령인 30대 초반 출산율이 급감해 여성인구 천 명당 출산율이 처음으로 100명 아래로 추락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출생아 수는 줄었는데, 사망자 수는 가장 많았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사망자는 늘어나는데 출생아는 줄면서 인구 자연증가 규모가 거의 반세기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통계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, 지난해 국내외에서 사망한 한국인은 28만 5천여 명이었습니다.<br /><br />전년보다 4천8백여 명 늘었는데요.<br /><br />최근 35년 가운데 지난해 사망자 수가 가장 많았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79세 이하는 전 연령층에서 사망자 수가 전년보다 줄었는데, 80대와 90대 이상은 각각 6%와 11% 정도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초고령 인구가 증가하면서 이들 연령대에서 사망자가 크게 늘어난 겁니다.<br /><br />특히 지난해 12월 출생아 수는 2만5천여 명, 사망자는 2만7천여 명에 육박하면서 통계작성 이후 처음으로 자연 감소현상이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통계청은 이번 겨울한파 등으로 12월 사망자가 평년보다 늘었다며, 우리나라 총인구는 2031년에 정점에 달하고 2032년에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김현우 [hmwy12@ytn.co.kr]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22813562055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