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문재인 대통령 3·1절 기념사 / YTN

2018-03-01 1 Dailymotion

존경하는 국민 여러분, 해외 동포 여러분.<br /><br />3.1운동 아흔 아홉돌입니다.<br /><br />3.1운동은 지금 이 순간 우리의 삶에 생생하게 살아 있습니다.<br /><br />서대문형무소의 벽돌 하나하나에는 고난과 죽음에 맞선 숭고한 이야기들이 새겨져 있습니다.<br /><br />대한독립 만세의 외침이 들려오는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우리는 박제화된 기념식이 아니라 독립운동의 현장에서 역사와 함께 살아 숨 쉬는 기념식을 하고자 이 자리에 모였습니다.<br /><br />일제 강점기동안 해마다 2천600여 명이 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습니다.<br /><br />1945년 8월 15일 해방의 그 날까지 10만여 명 가까이 이곳에 수감되었습니다.<br /><br />열 명 중 아홉 명이 사상범으로 불린 독립운동가였습니다.<br /><br />10대 청소년부터 어르신까지, 남쪽의 제주도에서 북쪽의 함경도까지, 나이와 지역을 막론하고 조국의 독립을 위해 실천했던 분들이었습니다.<br /><br />어머니와 아들, 아버지와 딸, 형제자매가 함께 투옥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수많은 어머니와 아내들이 이곳 형무소 앞 골목에서 삯바느질과 막일을 해가며 자식과 남편의 옥바라지를 했습니다.<br /><br />수감자뿐 아니라 그 가족들도 모두 독립운동가였습니다.<br /><br />국민 여러분.<br /><br />99년 전 오늘, 마을과 장터에 격문이 붙었습니다.<br /><br />독립선언서가 손에서 손으로 전달되었습니다.<br /><br />서울과 평양 ‧ 진남포 ‧ 안주, 의주 ‧ 정주 ‧ 선천, 원산 등 전국 각지에서 동시에 독립선언서가 낭독되고 만세 시위가 시작되었습니다.<br /><br />만세 운동은 순식간에 지방도시와 읍면까지 확대되었습니다.<br /><br />멀리 중국의 간도와 러시아의 연해주, 미국 필라델피아와 하와이 호놀룰루의 하늘에도 독립만세의 함성이 울려 퍼졌습니다.<br /><br />그해 3월 1일부터 5월 말까지 국내에서만 무려 1,542회의 만세 시위가 일어났고, 당시 인구의 10분의 1을 넘는 2백2만여 명이 이에 참가했습니다.<br /><br />3.1운동의 경험과 기억은 일제 강점기 내내 치열했던 항일 독립투쟁의 정신적 토대가 됐습니다.<br /><br />3.1운동 이후, 수백 수천 명의 독립군이 매일같이 압록강과 두만강을 건넜습니다.<br /><br />대한국민회, 북로군정서, 대한독립군, 군무도독부, 서로군정서, 대한독립단, 광복군 총영을 구성하여, 일제 군경과 피어린 전투를 벌였습니다.<br /><br />한 사람이 쓰러지면 열 사람이 일어섰습니다.<br /><br />안중근 의사의 뒤를 이어 강우규, 박재혁, 최수봉, 김익상, 김상옥, 나석주, 이봉창, 이루 다 열거할 수 없는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301_2018030110304404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