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아메리카 퍼스트', 즉 미국 이익 최우선을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폭탄 선언으로 총성 없는 글로벌 무역전쟁의 서막이 사실상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우리는 무역으로 먹고사는 구조인 데다가 통상 외에 군사외교적 측면까지 강대국에 끼인 형국이어서 대책 마련에 정부의 고민이 깊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미국 내 일자리 창출 등 미국 이익 최우선의 아메리카 퍼스트를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보호무역 강공.<br /><br />우리의 대미 무역 흑자액이 1년 새 4분의 3이나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미 통상압력에 당당히 대응하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가이드라인.<br /><br />[문재인 / 대통령 : 지금까지 우리가 많은 도전을 이겨냈듯이 정부와 기업이 합심하여 노력하면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대응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.]<br /><br />사실상 글로벌 무역전쟁의 포문을 연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산 철강 등에 대한 관세폭탄 1탄 선언으로 향후 자동차와 반도체 등에 대한 2탄 선언이 나올 수 있다고 정부는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과의 무역적자 상당 부분이 자동차에서 비롯됐다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시각이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한미 자유무역협정 개정을 위한 재협상도 이런 이유 등으로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 선언과 관련해 중국과 유럽연합 등은 곧바로 미국이 세계무역기구 WTO 규정을 무시했다며 상응하는 대응을 하겠다며 보복을 시사했습니다.<br /><br />관세 피해국은 일반적으로 비슷한 처지의 국가들과 연대하거나 WTO 등의 국제규범 내에서 가해국을 압박하는 것이 유효한 전략.<br /><br />하지만 정부는 중국 등과 함께 연대해 통상압박에 맞서다가는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중국 등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, 미국 정부와 산업 관계자 등을 상대로 한 설득 작업에 조용히 매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 무역으로 먹고사는 구조인 데다가 통상 외에 군사외교적 측면까지 강대국에 끼인 형국.<br /><br />때문에 정부는 여러 가지 면을 감안할 수밖에 없어 대응 수위 조절에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김상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30502095236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