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임을출 /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, 박원곤 /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<br /><br /> <br />어제 저녁이죠. 김정은 위원장을 면담했던 대북 특별사절단이 조금 전에 평양을 떠나 곧 서울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직접 김정은 위원장의 의중을 확인한 특사단. 과연 어떤 성과를 안고 왔을까요?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,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와 함께 관련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두 분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<br />오늘 아침에 청와대 브리핑이 있었죠. 그런데 핵심적인 내용이 결과가 실망스럽지 않다 이런 표현을 했는데요. 그만큼 우리 특사단의 목적이 뚜렷했는데 어느 정도의 성과가 있었다 이렇게 봐야 되겠죠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저는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다고 봅니다. 사실 조선중앙통신에서 표현하고 있는 내용들이 의미심장하게 와닿았는데 몇 가지를 이야기했습니다. 남북관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그리고 한반도 평화 문제와 안전 보장 문제를 아주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했다 이런 내용도 상당히 의미 있는 것이고요.<br /><br />그리고 남북정상회담과 관련된 부분. 그 부분과 관련해서도 의견을 교환했고 북측 표현을 빌리면 아주 만족한 합의를 봤다 이런 것이거든요.<br /><br />그러니까 남북관계 개선 그리고 평화 보장 문제 그리고 남북정상회담 이런 건데 결국 한반도 평화와 안전 보장 문제, 여기에 우리 모두의 관심이 쏠려 있는 비핵화 의제가 이 표현 안에 들어 있을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고 저는 평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<br />그러니까 수석특사를 맡은 정의용 안보실장이 평양으로 출발하기 전에 비핵화 의지를 분명하게 김정은 위원장에게 전하겠다고 했는데 그 성과가 바로 지금 말씀하셨던 한반도 평화와 안전 보장 문제라고 하는 그 문구에 녹아 있다 이렇게 보시는군요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네. <br /><br /> <br />그러면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이뤄졌을까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우리가 보통 남북고위급회담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 남북 관계를 쭉 이끌어오면서 큰 두 개의 주제가 있는데 하나가 남북 관계를 복원시키고 발전시키는 부분하고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는 부분이죠.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킨다는 그 부분 속에 수식어가 항상 붙어 있습니다. 비핵화를 포함한 한반도 평화 정착이라고 우리는 표현을 해 왔고 또 북쪽에도 그렇게 전달을 해 왔거든요. 그런 부분에서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30617124882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