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 방북 특사단과 트럼프 대통령의 면담 결과 발표에 대해 일본 정부는 신속한 반응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변화를 높게 평가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북미 간의 거리가 급격히 좁혀지는 분위기에 당혹해 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도쿄 특파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황보연 특파원!<br /><br />아베 총리가 입장을 밝혔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미국에서 우리 대북 특사단의 기자회견이 끝난 직후 아베 일본 총리가 관저에서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아베 일본 총리는 우선 북한의 변화를 높게 평가한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이런 변화는 일본과 미국이 확실히 협력하고 한미일, 그리고 국제사회가 더불어 강한 압력을 가해온 성과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아베 총리는 이와 관련해 오전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했다면서 그 내용에 대해서도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이 만나기를 희망한다는 친서 내용을 설명하며 이는 최대한의 압력의 결과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아베 총리는 이에 대해 같은 생각이라면서 동시에 북한이 검증 가능하고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향한 구체적인 행동을 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아베 총리는 이어 다음 달 초쯤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북핵 문제와 납치피해자 문제 등을 논의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고 긍정적인 답변을 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이같이 신속한 일본 정부의 대응 이면에는 당혹감과 긴장하는 분위기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내외적으로 일본 정부는 과거 북한과의 대화가 비핵화로 연결되지 않았다는 점을 계속 부각해 왔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제안을 곧바로 받아들이자 상당한 충격을 받은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이와 관련해 일본 외무성 간부는 전개 속도가 좀 빠르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이는 우리 대북 특사단이 지난 5일 북한에 파견돼 남북한의 4월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한 데 이어 곧바로 북미정상회담 의사 확인까지 이어진 상황을 거론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남북 그리고 북미 사이의 대화 분위기가 초스피드로 진행되는 데 대한 일본 정부의 당혹감을 드러낸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특히 남북과 북미가 직접 대화할 경우 한반도 문제에서 일본이 배제되는 이른바 '재팬 패싱' 상황이 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하고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30913543782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