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김용현 /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, 신범철 / 국립외교원 교수<br /><br /> <br />김정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자고 한 의도는 무엇일까요? 또 친서를 전달했다고 하는데 친서에는 어떤 알려지지 않은 내용이 담겨 있을까요? 북한과 미국 정상이 만난다면 어디서 만나고 어떤 얘기를 나눌까요?<br /><br />지금부터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그리고 신범철 국립외교원 교수와 함께 관련 내용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먼저 오늘 아침 백악관에서 있었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브리핑 내용 가운데 주요 내용 간단하게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오늘 분석할 내용이 많습니다. 하나하나 따져보도록 하죠. <br /><br />먼저 김정은 위원장이 먼저 가능한 한 빨리 트럼프를 만나고 싶다라고 한 의도는 무엇입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우선은 김정은 위원장 입장에서는 평창으로 열려진 대화와 평화의 공간 이것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, 또 비핵화 의지를 드러냄으로써 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 이런 것들, 이것을 최종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그런 출발점이 마련됐다 이렇게 평가를 한 것 같습니다. 그동안 문재인 대통령이 중간에서 중매인 역할을 지속적으로 해 왔는데 북한 입장에서도 역시 지금 상황에서는 미국과의 대화를 할 수 있는 시점이다.<br /><br />또 북한이 핵과 미사일 관련된 부분에서, 특히 핵 같은 경우는 어느 정도 핵을 거의 보유한 전 단계에 와 있다, 이렇게 봐야 될 것 같고 미사일도 상당한 수준까지 와 있는 지금 상황에서 이제는 그것을 더 진전시키지 않고도 지금 상황에서는 미국과 충분히 대화를 할 수 있고 그것을 통해서 북한이 의도하고 있는 특히 북미 관계 정상화나 체제안전 보장을 끌어낼 수 있다 이렇게 판단한 것 같다. 그래서 북한 입장에서, 김정은 입장에서는 지금 상황을 좀 더 적극적으로 판 자체를 본인이 끌고 가면서 그 상황에서 북미 관계를 풀어가는 그런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이렇게 평가를 할 수 있겠습니다.<br /><br /> <br />게다가 혹시 대북제재가 계속되다 보니까 이대로는 안 되겠다, 경제도 생각해야 되고 계속 이거 강대강으로 갔다가는 앞으로 북한이 1, 2년 후에 경제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이런 생각은 안 했을까요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물론 북한에 대한 전방위적인 국제사회의 제재 여기에 대해서도 상당한 부담은 분명히 있었을 겁니다. 당장 이 제재가 조기에 끝나는 것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30911041090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