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미투도 외칠 수 없는 이주 여성들..."신체 접촉·성 관계 요구" / YTN

2018-03-11 0 Dailymotion

결혼과 일자리, 유학 등으로 한국에 들어와 사는 이주민 여성은 100만 명을 넘어섰지만, 일부는 성폭력의 그늘에서 신음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사회의 무관심으로 미투도 외칠 수 없는 이주 여성들은 각종 성폭력 피해를 호소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인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국내에 거주하는 이주 여성들의 성폭력 피해 사례를 발표하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.<br /><br />이주 여성들은 자신들이 각종 성폭력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돼 있다고 호소 합니다.<br /><br />한 참석자는 고용업체의 사장이 어깨를 껴안거나 포옹하고, 옷을 몇 개 입었는지 확인했다고 폭로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다른 피해자는 성추행이나 성폭행을 당하는 동안 도움을 요청할 수가 없었고, 가해자가 폭로하면 너희 나라로 보내 버린다고 협박 했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결혼과 노동, 유학 등으로 국내에 들어와 사는 이주 여성은 100만 명을 넘었지만, 언어와 제도의 장벽 등에 가로 막혀 '미투' 바람에도 자신들의 피해는 외면받고 있다고 하소연 합니다.<br /><br />[허오영숙 /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상임대표 : 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차별과 폭력은 다양합니다. 그러나 한국인에 비해 정보를 잘 알지 못하고 의사소통을 잘 할 수가 없어서 그 피해를 드러내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.[<br /><br />지난해 1년 동안 이주 여성의 성폭력 관련 상담 건수는 450건 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주로 한국인 고용주와 관리자가 가해자로 지목됐습니다.<br /><br />피해를 당해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이유는 한국 말을 잘 못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, 도움을 요청할 곳을 몰라서와 일터에서 불이익을 당할 우려 때문 순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이주 여성들이 성폭력의 그늘에서 벗어나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관계 당국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신영숙 - 전국이주여성쉼터협의회 회장 : 모든 체류유형을 아우르는 이주여성 전담부처 설치를 요구합니다. 이주여성 대상 성폭력 실태조사를 요구합니다.]<br /><br />정부는 이달부터 국내 이주 여성 노동자의 성폭력 피해 예방을 위해 외국인 고용 사업장에 대한 집중 점검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YTN 오인석[insuko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31115271168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