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김주환 / YTN 정치·안보 전문기자<br /><br /> <br />5월로 예정된 사상 첫 북미 간 정상회담 자리는 그야말로 전광석화처럼 이루어졌습니다. 그래서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한 김정은 위원장의 핵 담판이 시작됐다 이런 전망도 내놓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김주환 YTN 정치안보 전문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북한과 미국의 정상이 마주 앉아서 대화를 한다는 것 자체가 실로 엄청난 이벤트이자 사건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. 이렇게 북미 정상이 함께 테이블에 앉게 된 배경과 요인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는데 어떻게 정리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[기자] <br />지금 말씀하신 대로 역사적이라고 했는데 휴전협정 당사국이죠. 그런데 그 이후로 한 번도 정상들이 만난 적이 없습니다, 지금까지. 그런데 세 가지 요인이 있다고 봅니다. 일단 중간자적인 입장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늘 강조했던 운전자론 그러니까 작년에서도 이야기를 했지만 한반도 5원칙이라는 것이 있습니다. 여러 가지 국가는 방위력을 위해서 대화도 나서야 된다, 그런 것들이 있는데 그것 하나와 두 번째는 이른바 작년 1월에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일관되게 대북 압박기조를 해서 400여 일이 넘었죠. <br /><br />거기에 따른 북한이 굉장히 공세에 몰렸고 이런 식으로 가다가는 이러다 외환보유고가 바닥날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어서 그래서 경제력이 없으면 협상도 무의미하거든요. 그것을 이런 상황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나름대로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이런 세 가지 요인이 서로 연계돼서 이번에 4월달에 남북 정상 5월로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이 현재로서는 성사되지 않았느냐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죠. <br /><br /> <br />지금까지의 과정을 보면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미 대통령을 일단 회담장으로까지는 오게 하는데 우리 정부가 성공을 한 셈입니다. 그런데 앞으로가 더 문제다라는 지적들이 있죠. 예상할 수 있는 장애물들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 <br />사실 총론에서는 했는데 테이블에 앉으면 여러 가지 본인들 속내가 다르겠죠. 그러니까 기본적으로 우리 정부와 미국은 한반도의 비핵화입니다. 그것도 되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북한의 핵을 폐기해야 된다. 물론 하루아침에 될 일은 아니지만 사실은 북한이 말하는 한반도 비핵화는 주한미군 철수, 한반도에서 주한미군 기지, 핵우산, 전략자산들을 배치하지 말아라라는 이런 요구조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31117072936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