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록 조건부이기는 하지만 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방북했던 우리 특사단에게 비핵화 의사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렇지만 남북한 그리고 북미간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의제를 논의할 때 북한 핵무기를 검증하는 것이 가장 큰 장애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.<br /><br />김주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2007년, 6자회담 당사국들은 북한 영변의 핵 재처리 시설 등을 불능화하겠다는 이른바 10·3 합의를 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조치의 하나로 이듬해인 2008년 6월, 영변 핵시설 냉각탑을 폭파하는 이벤트가 벌어졌습니다.<br /><br />당시 북한의 비핵화 이행 약속은 딱 여기까지였습니다.<br /><br />당시 미국은 북한 핵 검증을 위해 시료 채취를 요구했지만 북한의 강한 거부로 비핵화를 위한 조치는 실패로 끝났습니다.<br /><br />10여 년이 지난 올해 북한은 또 다시 비핵화 의지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도 미국은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신범철 / 국립외교원 교수 : (비핵화에 관한) 그런 것을 북한이 어떻게 해서 핵을 포기하고 그것을 검증하고 폐기하겠다. 이러한 로드맵을 미국은 생각하고 있는 겁니다.]<br /><br />그러나 비핵화 이행과정이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과거에 비해 훨씬 더 복잡해 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.<br /><br />지난 1994년 제네바 합의, 2005년의 9·19 공동성명, 2007년의 10·3 합의 등은 당시 기준으로는 미래의 핵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북한이 이미 국가 핵무력 완성을 선언했는데다,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핵무기 규모와 장소, 그리고 무기급 핵분열 물질의 보유량을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비핵화를 위한 첫 관문인 검증을 둘러싸고 향후 북미간 치열한 기싸움이 전개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.<br /><br />YTN 김주환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31312500385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