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주 목요일인 22일 미국의 기준금리가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보다 더 높아지는 한미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금융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원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우리 시각으로 22일 새벽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유력하게 전망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준이 예상대로 이번에 기준금리를 0.25% 포인트 올리면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 1.50%에서 1.75% 사이가 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보다 더 높아지게 됩니다.<br /><br />미국의 기준금리가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보다 더 높아지는 것은 지난 2007년 8월 이후 10년 7개월 만에 처음입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이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다음 달이나 5월에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에 부담을 느낄 경우 국내 기준금리 인상은 빨라야 7월에나 가능합니다.<br /><br />한미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최소한 넉 달 가까이 지속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속화 할 것이라는 우려로 국제금융시장이 흔들렸던 지난달에 외국인 주식자금은 이미 36억3천만 달러, 우리 돈으로 3조8천여억 원이나 빠져나갔습니다.<br /><br />이는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의 양적완화 규모 축소 시사로 이른바 '긴축발작'이 발생했던 2013년 6월 이후 4년 8개월 만에 최대 규모입니다.<br /><br />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과 경상수지 흑자 규모, 외국인 채권투자 자금 중 공공자금이 주류인 점을 볼 때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되더라도 외국인 자금이 대규모로 빠져나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이주열 / 한국은행 총재 : 과거의 경험을 보면 대규모의 증권자금 유출은 내외 금리차 보다는 국제금융시장에 큰 충격이 온다든가 또는 일부 신흥국 경제의 불안이 확산 되는 그런 경우에 주로 발생을 했고…]<br /><br />그렇지만 오는 22일 연준 위원들이 올해 기준금리 인상 횟수를 지난해 12월 전망한 3번에서 4번으로 변경할 경우 국제금융시장에 큰 후폭풍이 불 가능성이 높아 낙관만은 할 수 없다는 지적도 많습니다.<br /><br />YTN 김원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31813180364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