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방으로 본사를 옮긴 공공 기관들은, 올해부터 신입 직원을 뽑을 때, 해당 지역의 대학 출신들을 18%까지 의무적으로 뽑아야 합니다. <br> <br>그런데 취업 준비생들의 표정이 크게 엇갈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 이유를 김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김종진 / 대전 소재 충남대 4년] <br>“취직 걱정 하는 친구들이 많기 때문에 ‘아, 불리하겠다’라는 생각이 들었고…” <br> <br>[김태식 / 세종 소재 한국영상대 4년] <br>“취업하기도 힘들고 하는데 마음이 그나마 좀, 취업에 대한 걱정이 줄어든 것 같아요.” <br> <br>취업을 앞두고, 대전과 세종 두 지역 대학생들의 표정이 엇갈리는 이유는, 지역인재 의무채용 제도 때문입니다. <br><br>올해 1월부터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들은 신규 채용 인원의 18%를 지역 출신으로 뽑아야 하는데, 대학이 11곳이나 몰린 대전에는 이 제도로 취업할 수 있는 공공기관이 한 곳도 없는 반면, 대학이 4곳 뿐인 세종엔 공공기관이 19곳이나 됩니다. <br><br>공공기관 입장에서도 난처한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. <br><br>4년제 대학이 2개 뿐인 울산의 공공기관들은 18% 할당을 채울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. <br><br>[한국에너지공단 관계자] <br>“저희 공단은 상반기에 36명 신입지역 채용할 계획입니다. 그런데 울산 지역엔 4년제 대학이 2군데밖에 안 돼서…” <br> <br>정부는 지역 인재 비중을 30%까지 높인다는 계획이지만 지역 상황을 반영한 법 개정부터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현지입니다. <br> <br>김현지 기자 nuk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정승호 <br>영상편집: 김민정 <br>그래픽 : 김민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