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난해 말 북한 귀순병사의 수술과정에서 중증외상센터의 열악한 현실이 드러났었죠. 오늘 정부가 종합대책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이은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우리나라의 '예방 가능 외상사망률', 즉 적절한 시간 안에 병원에 이송돼 치료를 받았다면 목숨을 구했을 환자는 전체 외상사망자 10명 중 3명이나 됩니다. <br> <br> 이를 의료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기 위한 대책이 마련됐습니다. <br><br>[이낙연 / 국무총리] <br>"미흡한 현실에 대한 뒤늦은 반성이자 국민의 열화 같은 요구에 대한 실천적 응답입니다." <br><br>우선 중증외상센터 기피 현상을 줄이기 위해 의사 1명당 인건비 지원액을 20% 늘립니다. <br><br>또 간호사를 운영기준보다 많이 뽑으면 1인당 인건비를 최대 4천만 원 지원합니다 <br><br>[박재찬 /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과장] <br>"가장 중요한 부분은 실제 진료환경에서 최선 다하고 계신 의료진의 처우 개선입니다." <br> <br>환자 이송체계도 바뀝니다. 산림청, 경찰, 해경 등 정부 여러 부처가 보유한 헬기 122대를 적극 확용합니다. <br> <br>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 응급환자 헬기이송 요청은 119로 일원화 합니다. <br><br> 중증외상센터를 운영하는 병원의 경영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 임시봉합술, 소생술, 출혈 처치 등의 진료행위에 대한 의료수가를 높이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 <br>elephant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성훈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