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최고위급이 베이징을 전격 방문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중국이 철통 보안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이를 두고 남북한과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정세 논의에서 중국이 소외되는 이른바 '차이나 패싱'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취재 기자 연결합니다. 이종수 기자!<br /><br />중국이 보안이 강화됐다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북한 방중단이 어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'특별열차'로 베이징을 찾으면서 인민대회당과 조어대 경비가 삼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이곳에는 주중북한대사관 차량이 집중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 방중단에 최고위층이 있음이 분명케 하는 대목입니다.<br /><br />이 최고위층이 어제 저녁 김일성 방중 당시 항상 머물렀던 조어대 18호실에서 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<br /><br />중국은 이 일대 철통 보안을 나선 동시에 언론 통제도 강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판 트위터 웨이보에는 어제 오후까지만 해도 '조선'이란 검색어를 치면 북한 고위급 인사가 타고 온 것으로 보이는 특별열차 등의 사진 등이 떴지만 저녁부터 모두 삭제됐고, 이제는 검색조차 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당국의 통제 아래 관영 언론들도 북한 고위급 인사 방문과 관련해 어떠한 보도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외교부가 북한 최고위급 인사의 방중설에 대해 아는 게 없다고 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외교부는 오늘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나 동생인 김여정 당 중앙위 제1부부장 등 북한 고위급의 방중설에 대해 "아는 바 없다"고 답변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여러 정황을 살펴볼 때 북한의 최고위급의 방중이 분명해 보이는 가운데 이들에 대한 철통 보안과 최상급의 의전을 펴는 중국의 의도가 뭔 지 궁금해 지는데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이를 두고 베이징 외교가에선 여러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요 4월 남북정상회담과 5월 북미정상회담이라는 한반도 대격변의 시기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란 분석에는 일치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과거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3자회담, 6자회담 때와는 달리 남북한과 미국 등 3자구도로 한반도 정세 급변 논의가 이뤄지는 데 대한 우려감때문이란거죠.<br /><br />다시 말해 차이나 패싱 우려 때문에 중국이 역할을 확대에 나선 것 아니겠냐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기존에는 중재자로서 남북한과 북미 대화 성사에 주력해왔던 중국이 남북미 3자 구도에서 외면 당하자 북미대화 과정과 그 이후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 안전보장 프로세스에 중국이 가담하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32713412932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