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가 개발한 원자력 로봇이 국제원자력기구, IAEA가 추진 중인 핵사찰 로봇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요르단과 아랍에미리트로의 원자로 수출에 이은 사후관리 기술에 대한 수출로 원자력산업 강국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IAEA, 국제원자력기구는 전 세계 사용후핵연료 저장 수조에 보관된 핵연료와 지상에 쌓여 있는 방사성폐기물 컨테이너를 주기적으로 사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사찰요원들의 방사선 피폭 우려와 함께 원자력산업 규모가 커지면서 이들을 대체할 로봇 개발이 절실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'핵연료 점검 로봇'이 최근 IAEA의 '수상로봇'으로 선정됐습니다.<br /><br />[박종원 / 한국원자력연구원 로봇기기진단연구실 : 4개의 프로펠러를 가지고 연료저장 수조 수면에 떠서 좌우 회전 방향으로 로봇을 제어하면서 각각의 핵연료를 찾아서 점검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.]<br /><br />유일하게 IAEA가 제시한 모든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친 로봇으로, 올해 안에 현장적용 시험 등을 거쳐 IAEA 요청에 따라 수출 길에 오르게 됩니다.<br /><br />IAEA가 핵사찰을 위해 로봇 개발에 직접 뛰어든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수상로봇은 깊이 10m 이상의 핵연료 저장 수조에서 자율적으로 움직이고, 핵연료를 정확하게 관측해야 합니다.<br /><br />'핵연료 점검 로봇'은 1초에 30㎝ 이상 빠르게 자율 주행이 가능하고, 무게도 11㎏으로 가벼운 데다 5분 이내 빠른 설치와 운용 방법도 쉽습니다.<br /><br />[정경민 / 한국원자력연구원 로봇기기진단연구실장 : 현재 국제원자력기구에서 사찰하고 있는 전 세계의 모든 원자력 시설에 적용이 가능함으로 큰 수출 효과가 기대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속도와 편리성 모두 갖춘 핵연료 점검 로봇은 원자력 로봇 분야를 선도하고 원자력산업의 안전성을 한 차원 높일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YTN 이정우[ljwwow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33101191574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