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과 수도권 일부 아파트에서 폐비닐과 스티로폼 등의 수거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빚어진 쓰레기 대란 우려는 정부의 긴급 대책으로 일단 한숨을 돌렸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미 두 달 전 비닐과 스티로폼 수거 거부 사태가 예견됐는데도 정부와 지자체가 손을 놓고 있다,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오인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서울 등 수도권 3개 시·도 일부 아파트에서 벌어진 폐비닐과 스티로폼 등 재활용 쓰레기 수거 거부 사태가 일단 한고비를 넘겼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3개 시·도의 48개 재활용품 회수·선별 업체들을 설득하면서, 이들 업체들이 수거 거부에서 정상 수거 입장으로 돌아선 겁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수도권 3개 시·도 지역은 예전 처럼 폐비닐이나 스티로폼을 정상적으로 분리해 버리는 것이 가능해 졌습니다.<br /><br />김은경 환경부 장관은 주말 동안 수도권 주민들이 겪은 불편에 대해 사과했습니다.<br /><br />[김은경 / 환경부 장관 : 당분간 수거가 하루 이틀 혼란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, 전체적으로 지금 시스템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은 회복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]<br /><br />환경부는 폐비닐 등을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리도록 안내한 아파트 등에 대해 즉시 잘못된 안내문을 제거하도록 조치했습니다.<br /><br />비닐류를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버리는 것은 불법으로 과태료 부과 대상 입니다.<br /><br />정부의 긴급 조치로 재활용 쓰레기 대란 우려는 일단락 됐지만, 환경 당국의 안이한 대처를 비난하는 목소리는 여전 합니다.<br /><br />재활용업계에 따르면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민간 재활용품 업체들과 직접 계약을 맺고 재활용 폐기물을 처리해 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지난 1월부터 중국이 폐자원을 수입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재활용 업계의 수익성은 급격히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폐비닐이나 스티로폼은 처리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더 들어가면서 재활용 업체들은 고사 위기에 내몰렸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환경부와 지자체는 이런 상황에 무신경했고, 관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뒤늦게 재활용 업체들의 처리비용 부담을 줄이고 관련 업계 지원과 재활용 시장 안정화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YTN 오인석[insuko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40222141437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