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인증 없는 차량용 공기청정기…‘필터’ 확인 필수

2018-04-03 4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최근 미세먼지 때문에 차량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 분들.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관심이 많죠. <br> <br> 그런데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들, 성능 인증을 받지 않은 제품들이었습니다. <br> <br>김 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차량 내부의 필터로는 미세먼지를 제대로 거를 수 없다는 생각에 차량용 공기 청정기를 따로 구입하는 운전자가 늘고 있습니다. <br><br> 지난 두 달 동안 한 인터넷쇼핑몰을 통해 판매된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6배 이상 급증했습니다. <br><br> 마트에서 구입한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살펴봤습니다. <br> <br> 공기 청정 성능을 인증하는 마크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. <br><br> 가정용 공기청정기에는 공기청정협회가 정화능력과 미세먼지 제거 능력, 유해가스 제거 효과 등을 꼼꼼히 시험한 뒤 발급하는 CA 인증마크가 붙어있습니다. <br><br> 협회 측은 차량용 공기청정기 인증 신청건수가 현재까지 단 한 건도 없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 충전기에 꼽고 작동만 하면 공기정화가 된다는 제품입니다. <br> <br>[마트 관계자] <br>"(미세먼지 같은 것도 돼요?) 안의 먼지, 밖의 있는 먼지 다 청정이 되는 거예요. (초미세먼지도 돼요?) 네네" <br> <br> 창문을 닫고 차량 내부에서 작동 전후의 미세먼지 수치를 측정해봤습니다. <br> <br> 35.3 마이크로 그램으로 나쁨 수준인 차량에서 10분 정도 공기청정기를 가동했는데, 미세먼지 수치는 37.9마이크로 그램으로 오히려 나빠졌습니다. <br> <br> 전문가들은 차량용 공기 청정기의 성능 인증을 의무화 해야한다고 지적합니다. <br> <br>[조영민 / 경희대 환경공학과 교수] <br>"정부에서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제품군으로 묶어서 인증을 주는 제도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." <br> <br>[김진 기자] <br>"차량용 공기청정기를 구매할 때 이렇게 청정기 안에 헤파 필터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 <br> <br> 이같이 필터가 없는 제품은 미세먼지를 걸러주지 않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."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승헌, 조승현 <br>영상편집 : 장세례 <br>김 진 기자 holyjjin@dong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