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사람들 앞에 나서는 게 두렵고 긴장되는 느낌 한번쯤은 겪어보셨을텐데요<br><br>사회생활이 힘들 정도의 불안감, 사회공포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있다고 합니다.<br><br>문화과학부 이다해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<br><br>1. 이 기자, 사회공포증 정확히 어떤겁니까?<br><br>많은 사람들 앞에 나설 때, 실수하거나 창피를 당하는 것에 과도한 두려움을 갖는 정신질환을 말합니다.<br><br>사회공포증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요 통계를 보시면 2014년 1만6천여명에서 계속 늘어서 지난해엔 1만9천명 가까이 됐습니다.<br><br>특히 3~4월에 학생들은 새학기, 직장인들은 입사 시즌을 맞으면서 자기소개나 발표를 해야할 일이 많으실텐데요 이런 상황을 계속 회피하게 되고 고통을 느낄 정도라면 사회공포증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.<br><br>2. 단순히 긴장되는 정도를 말하는 건 아닌 것 같은데요 정확히 어떤 증상이고 원인은 뭔가요?<br><br>네 먼저 평상시 우리 몸이 불안할 때 어떻게 신체반응을 일으키는지 설명드리면요<br> <br>뇌의 중간 부분에 편도체라는 게 있는데 불안감이나 행복감 같은 감정 정보를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. <br><br>예를 들어 긴장된 상황에서 이 편도체가 활성화되면 심장이 두근거리고 땀이 나고 얼굴이 빨개지는 신체 반응이 나타나는데요 심하면 호흡이 어렵거나 정신을 잃기도 합니다. <br><br>사회공포증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트라우마, 그러니까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요<br><br>전문가의 설명 들어보겠습니다.<br><br>[김민경 /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]<br>"가족 중에 사회불안장애가 있을 경우 더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특히 아동 청소년 시기나 초기 성인 시기에 사회적 상황에서 부정적 경험이나 당황스럽고 수치스러운 경험을 했을 경우…"<br><br>3. 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많은 사람들 앞에서 망신을 당했던 트라우마가 병이 됐다는 건데 치료 방법은 있습니까? <br><br>네 스트레스 호르몬을 조절하는 약물 치료, 또 자신이 부족하다는 인식을 바꾸는 인지행동치료가 있습니다.<br><br>최근에는 잠재의식 상태에서 나쁜 기억을 좋은 기억으로 바꾸는 의학최면도 치료에 활용되고 있는데요 전문가의 설명 들어보겠습니다.<br><br>[김호성 / 의학최면치료사]<br>"과거의 안좋은 상황이 트라우마로 작용하는데…트라우마 약화시키고 좋은 기억으로 강화시켜서…"<br><br>또 VR 기술을 도입해 두려워 하는 상황을 실제처럼 펼쳐놓고 훈련을 하는 방법도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.<br><br>네, 지금까지 문화과학부 이다해기자였습니다.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