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산하 '한미연구소'가 한국 정부의 예산 지원 중단으로 내달 문을 닫습니다.<br /><br />연구소 폐쇄 이유를 놓고 '인사 외압'이라는 주장과 '실적 부족'이라는 주장이 엇갈렸는데, 결과적으로 우리 정부의 대미 공공외교에 타격이 있을 거라는 우려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존스홉킨스대학 국제관계대학원 산하 한미연구소.<br /><br />북한 전문 웹사이트, 38노스를 운영해 온 한반도전문 싱크탱크로 다음 달로 활동을 접습니다.<br /><br />설립 12년 만입니다.<br /><br />매년 20억 원을 지원해온 대외경제정책연구원, KIEP가 6월부터 지원 중단을 결정한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갈루치 한미연구소 이사장은 한국 정부의 '부적절한 간섭'을 거부한 뒤 지원 중단이 결정됐다고 언론에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청와대가 정치 성향 등을 이유로 소장과 부소장의 교체를 압박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청와대는 교체를 요구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KIEP도 국회의 운영 개선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아 내린 결정일 뿐이라며 회계 투명성 문제를 거론했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한미연구소의 운용 효율성과 연구 실적 부족에 대한 문제가 제기돼 온 것은 사실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도마에 오른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그동안 200억 원을 쏟아부은 미국 내 한반도 전문 연구소의 한 축을 폐쇄까지 이르게 된 데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주미대사관은 올해 별도 팀까지 꾸려 대미 공공외교에 주력하는 상황에서, 이번 사태로 관련 활동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이번 일을 계기로 해외 싱크탱크에 대한 지원을 재정비하고 투명성을 높이자는 목소리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카네기 재단 등 별도 재원이 있는 38노스는 그대로 유지될 예정이며, 정부는 SAIS 내 한국학 프로그램은 계속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41107200314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