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안전을 이유로 지상에 택배차량 진입을 막는 아파트가 늘면서 곳곳에서 택배기사와 주민 사이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데요. <br> <br>일부 택배 기사들은 배달 보이콧까지 벌이고 있습니다. 해법은 없을까요? <br> <br>박지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택배 기사가 아파트 단지 입구 밖에 배송차량을 세웁니다. 불편하게 손수레를 끌고 여러 번 왕복하며 배달하는 건 이 곳이 단지 내 차량 진입을 제한하는 '차 없는 아파트'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택배 기사] <br>"한 번에 안 된다 이거지. 어떨 때는 밤 1시, 2시도 부지기수로 갑니다.” <br><br>수도권의 또 다른 '차 없는 아파트'. 택배 기사들이 배달 시간 부족을 이유로 배달 보이콧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[박지혜 기자] <br>“택배 기사들이 아파트 주차장에 내려놓은 택배 상자입니다. 상자 수백 여개가 성인 허리높이만큼 쌓여 있는데요. 현관문 앞까지 일일이 배달할 수 없으니 주민들이 직접 찾아가라며 이렇게 한데 모아놓은 겁니다.” <br> <br>[송선화 / 아파트 주민] <br>"애들을 시켜서 가져와라 해야 하는 상황이 되니까 번거롭죠.” <br> <br>아파트 측은 지하에 차를 대면 된다는 입장이지만 택배업체는 차량 교체가 필요하다며 난색입니다. <br> <br>[택배 업체 관계자] <br>"돈이 들어요. 전국의 모든 택배 차들이 거의 대부분 2.5m 정도 높은 차량으로 유지가 되는데."<br> <br>일부 '차 없는 아파트'는 택배 기사가 아파트 집하장에 배송물품을 내려놓으면 아파트에서 고용한 노인 택배원이 현관 앞까지 배달합니다. 쾌적한 환경을 위해 추가 비용을 부담하는 겁니다. <br> <br>이 아파트는 택배 차량의 지상 진입을 허용하고 기사에게 무료 커피도 제공합니다. <br> <br>[정수현 / '셀프 카페' 개설 주민] <br>"서로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거든요. 그게 같이 살아가는 거 아닌가…" <br> <br>택배 갈등을 풀기 위한 양보와 지혜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 <br>sophi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황인석 조세권 정승환(전주) <br>영상편집 : 배영주